Publications

장애인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의 연계동향 및 정책과제 = Integrated Status of the Income Security and Social Service Programs for the Disabled, and Policy Implications in South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박수지
dc.contributor.author윤상용
dc.contributor.author이승기
dc.contributor.author이송희
dc.date.accessioned2013-03-15T05:58:48Z
dc.date.available2013-03-15T05:58:48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isbn978-89-8187-970-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9737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노동능력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소득보장과 재활·고용서비스의 연계방안을 모색하는 기초 작업으로서 외국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자 함. - ‘질병이나 장애로 인해 근로능력이 미약해짐’이라는 상황을 신사회적위험(new social risk)으로 규정하고, 이것에 대한 외국의 정책 사례를 고찰하고자 함. - 근로능력이 취약한 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득보장과 재활/고용서비스가 연계되고 있는 정책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접근방식 및 정책도구를 알아보고자 함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plores the current integrated status of the income security and social service programs for the disabled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in South Korea. First, it compares the disability policies of South Korea with those of OECD countries in dealing with the integrating effect of social service programs and disability benefit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the study focuses on policy formation of the One-Stop Center for the disabled as a way of tightly integrating social service programs and the income security for them. In reviewing the feasibility of the One-Stop Center policy, it also conducts a survey on the policy among disability policy experts, using the Q-method. One the basis of the findings through the above study, we suggest ‘institutional connecting’ and ‘provision system’ to tightly connect social service network with the disability benefits. For the ‘institutional connecting,’ we recommend 1) the work-capacity based approach in conceptualizing and evaluating the disabled, 2) reinforcement of income security for the disabled, and 3) the integration of income security, rehabilitation programs, and employment service programs. For the ‘provision system,’ we suggest 1) promoting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as a focal point of integrating welfare programs for the disabled, 2) reaching consensus for determining the boundary of jurisdiction as a gateway for welfare program implementation, 3) developing toolkits for evaluating the disabled, and a standardized service management program, and 4) encouraging discussion on educating and training experts and actors responsible for the needs of the disabl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요 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제3절 연구 방법 제2장 장애인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의 연계동향 제1절 우리나라 주요 장애인정책의 현황과 연계동향 제2절 OECD 국가의 장애인서비스 확대와 소득보장과의 연계동향 제3장 장애인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의 연계를 위한 정책과제: 통합지원체계의 구축을 중심으로 제1절 복지부「장애인서비스지원체계 개편 시범사업(2008~2012)」의 추진과 쟁점 제2절 장애인통합지원체계의 구축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Q방법론의 적용 제4장 결론 제1절 주요 연구내용 제2절 향후 정책과제 참고문헌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장애인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의 연계동향 및 정책과제
dc.title.alternativeIntegrated Status of the Income Security and Social Service Programs for the Disabled, and Policy Implications in South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장애인정책
dc.subject.keyword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의 연계
dc.subject.keyword장애인통합지원체계
dc.subject.keywordQ방법론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2-42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2-42
dc.subject.kihasa장애인 복지
dc.subject.kihasa사회서비스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사회서비스 > 장애인 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