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y analyzing poverty and inequality indices with time series dataset, the scale of the poor and perspective on income distribution have been clarified. - Policy makers, researchers, and other students will make use of products of our analysis to fulfill their various aims.
Table Of Contents
Abstract 일러두기 빈곤통계 요약 제1장 개요 제1절 빈곤통계 생산 목적 제2절 빈곤통계 생산 방법 제3절 빈곤통계의 구성 제2장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제1절 절대적 빈곤 제2절 상대적 빈곤 제3장 인구 유형별 빈곤 제1절 여성가구주 가구 제2절 아동 제3절 노인 제4절 한부모가구 제4장 가구주 연령별․가구 규모별 빈곤 제1절 가구주 연령별 빈곤율 제2절 가구 규모별 빈곤율 제5장 불평등 제1절 소득점유율 제2절 분위수배율 제3절 지니계수, 앳킨슨지수 제6장 빈곤 및 불평등 관련 사회경제지표 제1절 경제, 노동 제2절 인구, 사회보장 참고문헌 부 록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12-37
ISBN
978-89-8187-965-5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statistics
Income protection > Public income as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