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에 따른 저소득층 소득지원제도 발전방향 = Development of Income Support Programs of Korea According to NBLS Reformatio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강신욱
dc.contributor.author정은희
dc.contributor.author김수현
dc.contributor.author황덕순
dc.contributor.author박은경
dc.date.accessioned2013-03-15T04:57:52Z
dc.date.available2013-03-15T04:57:5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isbn978-89-8187-956-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9724
dc.description.abstract기초보장제도의 개편을 전제로 여타 저소득층 소득지원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저소득층에 대한 복지급여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
dc.description.abstractIn recent discussion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NBLS), the main issue has been how to eradicate the blind spot of the system. One of the promising answer to that problem is the change of benefit system of NBLS, from comprehensive system to separate one. Based on the new policy report published by Unit for improving Anti-poverty Program, this study tried to estimate the effect of the reformation of NBLS benefit system, using Koweps data(6th wave). According to our estimation, about 3.9 to 4.2% of all households could be the recipients of living cash benefit, and 6.5 to 11.8% households could be covered by housing benefit. The households covered by medical benefit as well as medical expenditure assistance program would be increased by 24.5%. And the ratio of households covered by at least one of these three benefits would by 27.3%, which is almost four times as current ratio, 6.9%. Most of newly covered group by reformed NBLS benefit system would be the vulnerables, such as the aged, the unemployed, temporary employees, and those who are not covered by social insurances. Change of NBLS benefit system is likely to makes sequential changes in other income support programmes. Above all the eligibility conditions should be loosened, especially in other in-kind benefits. More of financial budget should be allocated in supporting the need of housing demand, not supply. But, considering the condition of housing market for low income class, overall and immediate implement of rent support programme seems not easy. Gradual and stepwise approach such as lump-sum housing benefit could be needed for the time be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제2절 주요 선행연구 검토 제3절 연구의 목적 및 구성 제2장 생계급여 개선의 효과와 관련 사업 조정방향 제1절 생계급여 개편안 제2절 생계급여 개편의 효과 제3절 생계지원 관련 기타 급여들의 발전 방향 제3장 주거급여 개선의 효과와 관련 사업 조정방향 제1절 주거급여 개편안에 대한 가정 제2절 주거급여 개편에 따른 수급 대상 가구의 변화 추정 제3절 주거지원 관련 기타 급여들의 발전 방향 제4장 의료급여 개편의 효과와 관련 사업 조정방향 제1절 의료급여 개편 방안에 대한 가정 제2절 개편에 따른 의료비 지원 대상 가구의 분포 제3절 의료비 지원 관련 타 제도의 발전 방향 제4절 생계, 주거, 의료급여의 개편에 따른 종합적 효과 제5장 교육급여 개편의 효과와 관련 사업 조정 방향 제1절 교육급여 개편안 제2절 교육급여 개편의 효과 제3절 교육비 지원 관련 기타 급여들의 발전 방향 제6장 자활 및 고용지원서비스 발전방향 제1절 들어가는 글 제2절 기초보장 수급가구의 수급지위 변동 및 근로능력 수급자의 고용서비스 수혜실태 제3절 근로빈곤층의 소득보장 및 자활·고용서비스 수혜 제4절 근로빈곤층 보호제도와 고용서비스 개선방안 제7장 임대료 보조제도 도입의 조건과 단계적 접근방안 제1절 임대료 보조제도 도입 논의의 현황 제2절 외국의 임대료 보조제도 현황과 쟁점 제3절 우리나라의 임대료 보조제도 도입 여건 제4절 우리나라의 임대료 보조제도 도입방안 제8장 주요 결과 및 정책적 제언 제1절 기초보장 급여체계의 개편 효과의 주요 추정 결과 제2절 저소득층 지원제도의 발전을 위한 정책 제언 참고문헌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에 따른 저소득층 소득지원제도 발전방향
dc.title.alternativeDevelopment of Income Support Programs of Korea According to NBLS Reformation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dc.subject.keyword급여체계
dc.subject.keyword욕구별 급여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강신욱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은희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2-2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2-28
dc.subject.kihasa공공부조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공공부조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