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에 따라 시설아동의 특성이 변화하고 있는 현실을 볼 때, 무의무탁아동에 대한 대리적 보호기능을 수행하던 과거 아동복지시설의 기능 및 역할도 재정립될 필요가 있음. - 본 연구는 아동복지시설 보호아동의 특성 및 욕구, 그리고 이들 아동에 대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와 아동복지시설의 관리·운영 실태 등을 파악하여 향후 발생하는 요보호아동의 특성에 적합한 서비스 방안을 강구하는데 주요 목적을 둠. ▣ 주요내용 -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 한국 요보호아동의 역사와 보호실태 정리 - 주요외국의 요보호아동 보호 및 관리 실태 검토 - 조사대상시설의 운영관리 및 서비스 현황 분석 - 시설보호아동 및 보호자의 특성 분석 - 정책제언(시설보호아동의 효율적 보호방안, 시설보호아동의 가정복귀 활성화 방안, 아동복지시설의 발전방안) ▣ 기대효과 - 본 연구보고서는 아동의 시설입소를 최대한 억제하고, 가족기능의 유지 및 회복할 수 있는 가족복지서비스가 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됨. - 아동의 가족(보호자)에 대한 연계 및 관리 등 서비스 대상 및 내용을 보다 광범위하게 확대하여 조속한 기간 내에 가정의 아동보호서비스 기능을 회복하고, 아동이 정상적인 가정에서 생활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