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960년대 이후 식중독 발생이 감소하다 1990년대 이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사업체, 음식점 등 집단급식소의 식중독 발생이 감소하는 추세와는 달리 학교급식에서의 식중독 발생은 증가하고 있음. - 즉, 2001년 집단급식소에서 발생한 전체 식중독의 77.8%가 학교급식에서 발생되었음. - 학교급식은 자라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고, 식중독 발생시 대형화되기 때문에 위생수준 제고는 시대적 소명과제임. - 이 연구는 최근 양적 팽창을 하고 있는 학교급식의 위생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조직, 관리, 운영 측면에서의 개선 방안 도출에 목적이 있음. ▣ 주요내용 - 현 학교급식 실시 및 관리체계상의 현황 및 문제점 파악 - 식중독 발생 현황 및 특성 분석 - 외국의 학교급식 관리, 운영 현황 파악 및 정책적 시사점 도출 - 학교급식의 위생적 관리를 위한 인력, 법, 제도, 조직 등 종합적인 개선방안 도출 ▣ 기대효과 - 학교급식의 안전성 제고로 식중독 발생 예방 - 학교급식의 효율적인 관리체계 구축으로 부처간 갈등 해소 및 관련 행정의 효율화 도모 - 학교급식의 HACCP 확대 적용으로 위생수준 제고 - 국가차원의 식중독 전담조직 구축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