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먹거리 보장 실태와 정책과제 = Food Security in Korea and Its Policy Agenda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흥주
dc.contributor.author이해진
dc.date.accessioned2012-07-09T04:46:49Z
dc.date.available2012-07-09T04:46:49Z
dc.date.issued2012-06-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8637
dc.description.abstract먹거리 위험사회일수록 그 사회 전체가 지속가능하지 않고 불확실한 미래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 때문에 제대로 된 먹거리 보장 정책이 필요하다. 한국의 먹거리 문제 인식은 매우 낮은 수준이다. 먹거리 문제를 사회구성원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사회적 위험으로 받아들이지도 않았고, 먹거리에 대한 양적·질적 욕구를 사회적 욕구로 인정하는 데에도 매우 인색하였다. 때문에 체계적인 먹거리 보장 정책이나 복지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다만 생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식 빈곤층과 기초생활수급자에 대한 ‘공공급식’을 지원하는 수준이었다. 이렇게 먹거리 보장 정책이 활성화되지 못한 이유는 첫째, 먹거리 보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철저하지 않다는 것이다. 결핍문제 해결을 먹거리 보장의 모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먹거리 위기를 인식하는 데에 생산자와 소비자, 절대 빈곤계층과 상대적 부유층, 시장주의자와 생태주의자 사이에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이렇기 때문에 먹거리 연대가 허약할 수밖에 없으며, 결과적으로 먹거리 문제해결에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먹거리 문제를 개인적 차원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그러나 먹거리는 생산자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먹거리 공급연계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과 관련된 문제이며, 경제·사회·환경에서부터 건강·교육·문화에 이르는 많은 분야들에 널리 걸쳐 있는 문제다. 시장성보다는 공공성으로 풀어야 한다. 새로운 먹거리 보장 정책에는 이러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dc.description.abstractThe riskier a society’s food system becomes, the more unsustainable and uncertain the future of the society will be. Being concerned about food safety can be regarded as a core characteristic of a food risk society. That is the very reason why we need a well-designed policy to secure food safety.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public’s perception of food safety problems remains low in Korea. Korean people are unwilling to acknowledge food safety problems as a general social risk. The dearth of systematic policies and welfare programs regarding foods safety can be ascribed at least in part to lack of public interest in food safety. Current foods-related policies remain focused only on providing ‘public catering services’ for those who live under the minimum wage level. Why food security policies are underdeveloped in Korea? First, the level of people’s perception about foods security remains low. Secondly, there have been some serious discrepancies in the understanding of food crisis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between those living in absolute poverty and those enjoying relatively wealthy lives, and between those who are market-oriented and ecology-oriented. Third, people tend to view food problems only as personal concerns. On the contrary, the food problems should be regarded as community problems in which all participants in the food supply chain, from producers to consumers, are involved. Food problems, therefore, are social problems, not personal ones, and because of the very social factors they have, should be approached from a socioeconomic perspective. These changes in viewpoints are prerequisites for initiating a new food security poli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머리말 Ⅱ. 이론적 논의 Ⅲ. 먹거리 보장 실태 Ⅳ. 먹거리 보장 프로그램 평가 Ⅴ. 맺는 말 참고문헌
dc.format.extent3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한국의 먹거리 보장 실태와 정책과제
dc.title.alternativeFood Security in Korea and Its Policy Agenda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먹거리 보장
dc.subject.keyword먹거리 보장 프로그램
dc.subject.keyword먹거리 위험사회
dc.subject.keyword먹거리 복지
dc.subject.keyword공공급식
dc.subject.keywordFood Security
dc.subject.keywordFood Security Program
dc.subject.keywordFood Risk Society
dc.subject.keywordWelfare for Food Security
dc.subject.keywordPublic Foods Services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2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468
dc.citation.endPage49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pp.468-49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2 No.2, pp.468-499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