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수당제도 도입타당성에 대한 연구 = Study on Introduction of Social Allowance in Korea

제목
사회수당제도 도입타당성에 대한 연구 = Study on Introduction of Social Allowance in Korea
저자

노대명여유진김태완 ; 원일

발행연도
2009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해외 주요 사회수당 유형의 비교 분석

- 해외 주요 사회수당 급여 수준 비교

- 해외 주요 사회수당의 다른 제도와의 연계성 분석

- 한국 사회보장제도가 직면하게 될 경제사회적 환경변화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사회수당제도 도입 필요성을 검토하고자 함.

- 국내의 사회보장제도 및 관련 복지제도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사회수당제도 도입과 관련한 제도적 여건을 살펴보고, 도입 필요성에 대한 정책제안을 하고자 함.

The social protection system in Korea still bears the traces of earlier history. It follows a long-established ‘'developmental welfare state’' tradition, continues to favour the residual welfare strategy. It is true that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two democratic governments have reinforced or expanded main welfare policies like social insurances and social assistance. Nevertheless, there are the millions excluded from actual social protection system.
The aim of this report is to propose the long-term strategy for the introduction of social allowance policies, in its respective institut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It mean that this report explore the possible strategies of welfare expansion in the time de economic recession.
The notion of is defined here by three viewpoints: 1) Basic Income, 2) Demogrants, 3) Categorical Social Assistance. The concept of Basic Income is useful in the re-construction of actual social welfare system in term of social allowance. Demogrant not introduced in Korea is rather useful in the proposition of realist welfare reform strategy. However, the Categorical Social Assistance favored by legislators indicate the actual feature of social allowance.
In fact, Basic Old-Age Pension and Basic Disability Pension is not the true pension but the categorical social assistance schemes that protect mainly the low income families. These are not encore social allowance programs. In this sense, it will allow us to propose the action plan(reform plan) toward the social allowance scheme that help expand the coverage of social protection program despite budget constraint.
The last two governments have introduced the number of categorical social assistance program and took a heavy step toward the welfare expansion. However policy-makers are still reluctant to accept the arguments of specialists in favour of social allowance programs, because there is a widespread and strong belief in the merits of developmental strategy and the weakness of welfare strategy.
This report propose that the social allowance is a practical and effective method of improving the welfare of low income families, and that it must take the step forward with the more solide and differentiated strategies.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연구방법

제2장 이론적 검토
제1절 사회수당이란 무엇인가
제2절 사회수당제도의 보편성과 특수성
제3절 사회수당제도의 한계와 발전방안
제4절 소결

제3장 각국의 사회수당제도 비교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프랑스의 사회수당제도
제3절 영국의 사회수당제도
제4절 스웨덴의 사회수당제도
제5절 시사점

제4장 한국 사회보장제도의 실태와 과제
제1절 전환기의 복지체제
제2절 사회보장제도의 기본구조와 실태진단
제3절 소득불평등과 빈곤문제의 현황
제4절 사회수당제도의 필요성

제5장 사회수당제도의 세 가지 발전전략
제1절 세 가지 관점의 특성
제2절 기본소득 관점에서 본 사회수당
제3절 데모그란트 관점에서 본 사회수당
제4절 범주적 공공부조 관점에서 본 사회수당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안
제1절 연구결과의 함의
제2절 정책제안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09-13
ISBN
978-89-8187-588-6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사회수당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