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사회위기 지표개발과 위기수준 측정 연구 = A study on Indicators Development and Measures of Social Crisis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승권
dc.contributor.author장경섭
dc.contributor.author김호기
dc.date.accessioned2010-11-09T02:21:52Z
dc.date.available2010-11-09T02:21:52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isbn978-89-8187-591-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841
dc.description.abstract- 사회위기 관련 제 이론 및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 사회위기 지표개발 - 사회위기 지표의 우선순위 설정 - 사회위기 수준 측정 - 사회위기 극복 또는 제거를 위한 정책방안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cial crisis indicators in Korea; to measure the time-series crisis level based upon these indicators; and to propose policy recommendations to reduce the crisis level according to the measurements. The final social crisis indicators ar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findings of Delphi survey and respondents' comments. A total of 10 areas and 44 indicators are selected.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society experienced a moderate level of crisis (61~80 points) during 1996~2008, and the level of crisis was relatively low (41~60 points) in 1999, 2004, 2005, and 2007. The level of social crisis was at its lowest at 55.64 in 2005, rising in 2006 to 60.75 and remaining more or less the same thereafter. In 2009, despite of the immense effects of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e level of social crisis increased only by 0.88 points from the previous year. Based up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cademic and policy recommendations. At the academic dimension,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definition and theoretical foundation of social crisis, and further multidisciplinary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s to social crisis. The study results bring to light many aspects of policy implications as follows: establishment of social crisis management system and the concept of permanent job, prevention of middle and high school dropouts, and comprehensive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policies on low-fertility and ag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부: 서론 및 이론적 논의]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3절 연구의 제한점 제2장 사회위기의 개념 및 특성과 담론 제1절 사회위기의 개념 제2절 위기의 유형과 관리 제3절 사회위기관련 담론 제4절 사회위기의 개념 및 특성과 담론의 시사점 제3장 사회위기 관련 선행연구 제1절 사회주의체제 위기수준 측정 제2절 한국의 사회위기 관련 연구 제3절 사회위기 관련 각종 사회지표 제4절 사회위기 관련 선행연구의 시사점 제4장 한국사회의 압축적 근대성과 사회위기의 구조적 복합성 제1절 개요 제2절 압축적 근대성과 위기사회 제3절 이중적 위기사회로서의 한국 제4절 시사점: 사회위기 지표 개발을 위한 논의 [제2부: 한국의 사회위기 지표개발과 위기수준 측정] 제5장 한국의 사회위기 지표개발 제1절 사회위기 지표(안) 개발 제2절 「사회위기 영역(안)」의 우선순위 및 영향도 제3절 「사회위기 지표(안)」의 우선순위 및 영향도 제4절 한국의 사회위기 영역 및 지표 확정 제6장 한국의 사회위기지표별 위기수준 제1절 고용영역 사회위기지표의 위기수준 제2절 교육영역 사회위기지표의 위기수준 제3절 주거영역 사회위기지표의 위기수준 제4절 인구‧가족영역 사회위기지표의 위기수준 제5절 복지영역 사회위기지표의 위기수준 제6절 건강‧안전영역 사회위기지표의 위기수준 제7절 사회갈등‧문화영역 사회위기지표의 위기수준 제8절 불평등영역 사회위기지표의 위기수준 제9절 경제일반영역 사회위기지표의 위기수준 제10절 정치일반영역 사회위기지표의 위기수준 제7장 한국의 사회위기 영역 및 전체의 위기수준 측정 제1절 사회위기 영역 및 지표의 가중치 산출 제2절 위기영역별 사회위기 수준 제3절 한국의 사회위기 수준 [제3부: 종합논의와 제언] 제8장 종합논의 제1절 사회위기 영역 및 지표 개발의 논의 제2절 사회위기 수준 변화의 논의 제9장 한국의 사회위기 관리방안 제1절 학문적 제언 제2절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부록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의 사회위기 지표개발과 위기수준 측정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Indicators Development and Measures of Social Crisis in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09-1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09-16
dc.subject.kihasa사회보장 통계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