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균형적 복지국가(성장,분배,정서복지의 균형정책) = Balanced Welfare State: The Policy of Harmonizing Growth, Distribution, and Emotional Wellbeing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경배
dc.contributor.author박능후
dc.contributor.author김미곤
dc.contributor.author변재관
dc.contributor.author김승권
dc.contributor.author석재은
dc.contributor.author이선우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ontributor.author노대명
dc.date.accessioned2010-11-09T02:21:36Z
dc.date.available2010-11-09T02:21:36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isbn89-8187-294-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796
dc.description.abstract종래 복지국가는 실업 및 빈부격차 축소문제를 해소하지 못한 채 과다한 복지지출로 국가재정이 적자위기에 시달려왔다. 또한 이들 국가들의 관대한 복지급여는 수혜자들의 복지 의존적 생활양식과 근로동기 저하를 가져왔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좀더 집중적이고 포괄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복지경제 모형의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며 새로운 복지국가모형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특히 고려할 사항은 실업문제의 심각성, 소득분배의 악화, 재정위기와 경제 침체, 그리고 근로동기 저하 등이 해결될 수 있는 포괄적인 정책연계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第 1 部 均衡的 福祉의 基本構想 Ⅰ. 福祉國家의 發展的 均衡模型 Ⅱ. 均衡的 福祉의 哲學的 基礎 Ⅲ. 福祉國家의 基礎保障 展開過程 Ⅳ. 西歐 脫貧困政策의 理念과 體系 第 2 部 社會保障政策과 均衡的 福祉의 設計 Ⅴ. 均衡的 福祉: 基礎保障과 生産的福祉 Ⅶ. 健康保險의 財政安定化 方案 第 3 部 家庭 같은 社會의 造成과 均衡的 福祉의 設計 Ⅷ. 家庭 같은 社會의 造成 Ⅸ. 均衡的 女性福祉政策 Ⅹ. 均衡的 老人福祉政策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균형적 복지국가(성장,분배,정서복지의 균형정책)
dc.title.alternativeBalanced Welfare State: The Policy of Harmonizing Growth, Distribution, and Emotional Wellbeing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미곤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노대명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현주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02-27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02-27
dc.subject.kihasa복지국가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