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는 그 동안의 經濟發展을 基盤으로 1995年 3月에 OECD에 加入申請書를 提出하였으며, OECD에 加入하게 되면 OECD에서 요구하는 87個 部門의 統計資料를 提供하여야 하나, 保健福祉部門의 경우 거의 대부분 우리나라에서 生産되지 않고 있는 統計임. - 經濟發展 第一主義의 國政運營으로 그 동안 留保되어 온 國民의 福祉와 ‘삶의 質’ 向上을 위하여 1995年에 國民福祉企劃團을 구성하고 國民福祉의 基本計劃을 樹立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保健福祉政策을 樹立하기 위하여는 正確하고 體系的인 統計가 뒷받침되어야 하나 現實은 그렇지가 못한 實情임. - 本 硏究에서는 이와 같은 國內外의 環境變化에 부응하기 위하여, 保健福祉部의 統計를 評價하고 그 改善을 위한 推進方向과 基本課題를 구체적으로 提示하는데 硏究의 目的을 두고 있음.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범위 및 내용
Ⅱ. 보건복지통계 생산현황 1. 보건복지통계 생산기관 2. 보건복지부 통계생산현황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생산현황 4. 기타 기관의 보건복지 관련통계 생산현황
Ⅲ. 보건복지부 통계생산체제 1. 분산형 작성체제 2. 전산통계담당관실 업무 3. 통계계 업무 및 담당 인력
Ⅳ. 보건복지통계연보의 평가 1. 구성 2. 내용
Ⅴ. 보건복지통계 개선 추진현황 1. 기존의 보건복지통계 개선방향 2. 제시된 문제점 3. 추진실적 4. 문제점 미해결 사유
Ⅵ. 추진방향 및 기본과제 1. 추진방향 2. 기본과제
참고문헌
부록: OECD의 보건부문 통계목록
Local ID
연구보고서 1995-33
ISBN
89-8187-058-6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stat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