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강신욱 |
dc.contributor.author | 박능후 |
dc.contributor.author | 이병희 |
dc.contributor.author | 정희선 |
dc.contributor.author | 이경진 |
dc.date.accessioned | 2012-01-17T03:26:17Z |
dc.date.available | 2012-01-17T03:26:17Z |
dc.date.issued | 2011 |
dc.identifier.isbn | 978-89-8187-846-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7761 |
dc.description.abstract | ◈ 주요 경제사회지표의 변화 추이 ◈ 복지제도의 수급실태 분석 ◈ 기타 연구 |
dc.description.abstract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cial indicators of Korea by using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 Data(1st∼5th wave). The KOWEPS data, made and releas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KIHASA) and Social Welfar Research Center of SNU, provide much information on conditions of life and welfare needs of households in Korea. By developing social indicators, we expect to get useful insights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and policy implications. This report is consist of three parts. At first, we introduce the scope of our research and give an brief outline of KOWEPS data. The second part(ch.3∼ch.9) deals with social indicators of six areas: income, distribution, housing, health, labor, social security, and poverty dynamics. The last part includes in-depth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informal labor and poverty(ch.10) and the effect of EITC in Korea(ch.11).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12 제3절 분석 방법 및 한계 14 제2장 한국복지패널 개관 19 제1절 조사개요 19 제2절 한국복지패널의 장점 및 한계 24 제3장 소득 29 제1절 소득 범주의 구분 29 제2절 소득관련 지표 분석결과 31 제3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42 제4장 소득분배 47 제1절 소득분배 관련 지표 산출 방식 47 제2절 소득분배 지표 산출결과와 추이 50 제5장 주거 63 제1절 주거복지 지표 산출방식 65 제2절 주거복지 지표 산출 결과와 추이 69 제3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82 제6장 보건의료 87 제1절 보건의료 측정지표의 선정 및 측정도구 87 제2절 보건의료지표 측정결과와 추이 92 제3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118 제7장 노동 121 제1절 노동지표 산출 방식 122 제2절 노동지표 산출 결과와 추이 126 제3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154 제8장 복지수급 157 제1절 복지수급 지표 산출 방식 158 제2절 복지수급 지표 산출 결과 164 제3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177 제9장 빈곤의 동태적 변화 181 제1절 동태적 분석의 의의와 데이터 구성 181 제2절 빈곤지위의 변화 183 제3절 빈곤 진입과 탈출 189 제4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192 제10장 비공식 근로와 빈곤 197 제1절 문제의식 197 제2절 분석 방법과 자료 198 제3절 비공식 근로와 빈곤간 관계 200 제4절 비공식 근로의 지속성과 빈곤에 미치는 영향 208 제5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217 제11장 근로장려세제 효과분석: 근로동기와 가구소득에 미친 영향 221 제1절 서론 221 제2절 이론적 고찰 223 제3절 연구설계 227 제4절 분석결과 233 제5절 소결 및 정책적 함의 248 참고문헌 251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2011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통해 본 한국의 사회지표 |
dc.title.alternative | Development of Social Indicators by Means of KOWEPS Data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2011년 한국복지패널 |
dc.subject.keyword | 한국의 사회지표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강신욱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11-44-2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11-44-2 |
dc.subject.kihasa | 사회보장 통계 |
dc.subject.kihasa | 공공부조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