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영향평가 홈페이지 구축” ◈ 건강결정요인별 건강영향평가 연구 수집 및 정리 ◈ 건강영향평가 방법별 건강영향평가 연구 수집 및 정리 ◈ 지침 또는 도구별 건강영향평가 연구 수집 및 정리
Health impact assessment (HIA) is intended to influence decision making so that policies, projects, and programmes in all areas lead to improved population health or at least do not damage population health. Since Korea is only in a preliminary stage of its implementation, basic data required for HIA are insufficient. Therefore, we constructed the data base for HIA and continuously provide rela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HIA and support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Materials to be collected into the HIA data base include: definition of HIA and related basic terminology; HIA implementation instruments and guidelines; list of domestic and overseas website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with HIA; HIA programs and regulations in foreign countries; HIA-related research reports and outcomes as classified by health determination factors. The HIA data base will be placed on the web in terms of a separate internet homepage named "HIA Approach" (http://hia.kihasa.re.kr) in order to consider dynamic information flows and allow researchers, policy-makers and general public easy access to useful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11 제1절 사업추진배경 및 필요성 11 제2절 건강영향평가 DB 구축의 기본방향 16
제2장 국내외 건강영향평가 DB 사례 분석 23 제1절 국내 건강영향평가 DB 사례 23 제2절 국외 건강영향평가 DB 사례 27
제3장 건강영향평가 DB 구축 결과 41 제1절 건강영향평가 소개 42 제2절 건강영향평가 가이드라인 54 제3절 건강결정요인별 근거자료 55 제4절 건강영향평가 사례 57 제5절 건강영향평가 관련 제도 61 제6절 알림마당 62
제4장 건강영향평가 홈페이지 개발현황 75 제1절 개발 구성 및 일정 75 제2절 개발 내용 78 제3절 시스템 구성 107
제5장 결론 및 향후 발전방향 111 제1절 사업추진결과 111 제2절 향후 발전방향 114
참고문헌 117
부 록 121 부록 1. 기존의 건강영향평가 결과 DB 123 부록 2. 기존의 건강영향평가 결과 185 부록 3. 건강영향평가 근거 DB 301
Local ID
연구보고서 2011-39-4
ISBN
978-89-8187-838-2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Health and welfare digitization
Health care > Health promotion
Health care > Health-friendly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