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중산층가족 복지체감도 증진방안 연구 = Study on Improving Ways to Meet the Welfare Needs of the Middle Class Famil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유경
dc.contributor.author정현숙
dc.contributor.author임성은
dc.contributor.author김정숙
dc.date.accessioned2012-01-16T08:04:11Z
dc.date.available2012-01-16T08:04:11Z
dc.date.issued2011
dc.identifier.isbn978-89-8187-802-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7710
dc.description.abstract◈ 중산층 및 복지체감 관련 이론적 고찰 ◈ 국내외 중산층 가족정책 관련 법ㆍ제도 비교분석 ◈ 중산층 가족의 복지체감지수 개발 ◈ 중산층 가족의 특성 및 복지체감 수준 ◈ 전문가 의견 분석 ◈ 중산층 가족의 복지체감도 증진을 위한 사회적 지원 방안 구축
dc.description.abstractToday, our society is facing several challenges such as increasing family conflict and family break-up in the changing socio-economic environment surrounding families. The impact of the economic crisis stemming from the US for the last 2-3 years has led to the undermining of family-stability, in particular, that of the middle class families. However, public welfare policies are still focused on vulnerable and low-income families while lacking in meeting the needs of the middle class families.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welfare policies to meet the needs of the middle class familie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d the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the middle class families and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s part of this research, a broad-scale survey was also conducted with the middle class families and experts in the relevant welfare field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Middle class familie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welfare policy than low-income families but more satisfied than high-income families. Middle-class families are in favor of labor policy, income security policy, and work-family balance policy among welfare policies. In addition, the majority of the middle class families were willing to pay more taxes to receive a wide range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erefore, while the main policies for the middle class families should be focused on employment and labor, the government should be able to differentiate social services depending on different needs of families as arising from different situations they are in such as parents' marital status or education leve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1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2 제2장 중산층가족의 복지체감 관련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31 제1절 중산층가족 및 복지체감의 개념 및 범위 정립 31 제2절 중산층가족의 복지체감 관련 선행연구 44 제3장 국내외 중산층가족 관련 법‧제도 비교분석 61 제1절 중산층 가족정책의 패러다임 및 방향 61 제2절 중산층 가족정책 관련법 76 제3절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국내 중산층 가족정책 87 제4절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국외 중산층 가족정책 106 제5절 시사점 133 제4장 중산층가족의 복지체감도 141 제1절 분석대상자의 특성 141 제2절 중산층가족의 복지인식 151 제3절 중산층가족의 복지체감도 및 변화 171 제4절 시사점 193 제5장 중산층가족의 특성 및 복지욕구 199 제1절 중산층가족의 특성 199 제2절 중산층가족의 문제점 진단 262 제3절 중산층가족의 복지욕구 310 제4절 시사점 333 제6장 중산층가족의 기준 및 복지정책에 대한 전문가 의견 339 제1절 전문가조사 응답자의 특성 339 제2절 중산층가족의 기준 및 범위 341 제3절 중산층가족의 복지정책 방향 및 수요 350 제4절 중산층가족의 정책욕구 355 제5절 시사점 364 제7장 중산층가족의 복지체감도 증진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369 제1절 중산층가족정책의 패러다임 및 방향 369 제2절 중산층가족 관련 법‧제도 개선 370 제3절 중산층가족의 고용관련 대책 375 제4절 중산층가족의 소득관련 대책 379 제5절 중산층가족의 일‧가정양립정책 381 제6절 중산층가족의 자녀양육정책 383 제7절 중산층가족의 가족돌봄서비스 390 제8절 중산층가족의 주택정책 394 제9절 중산층가족의 특수욕구서비스 397 참고문헌 403 부록 419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중산층가족 복지체감도 증진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n Improving Ways to Meet the Welfare Needs of the Middle Class Famili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중산층가족
dc.subject.keyword복지체감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유경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임성은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1-2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1-26
dc.subject.kihasa복지국가
dc.subject.kihasa사회통합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