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 정부의 사회예산을 시계열적으로 구축하고, 사업별ㆍ회계별ㆍ부처별 예산을 분석함. ◈ 2011년 사회예산에서 주요하게 인식되는 부문 예산의 편성과 배분의 문제, 운용 현황을 통해 예산구성상의 특징 파악
Social budget in 2011 recorded another historically highest share of 35.7% (121.8 trillion won). Total government revenue reached 314.6 trillion won, as total government expenditure becomes 341.6 trillion won in 2011. This rapid increases of social budget are largely shown in the social insurance payments such as the health insurance and pension, and among other transfer payments such as job creation and elderly support. For 2011 social budget, much attentions still needs to be made to rapid increases in the health insurance expenditure and pension payment. Social budget is expected to consistently increase in the future, but this increase in number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social welfare is improved. Performance based budgeting need to be established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budgeting. This paper examines social budget in depth to suggest sustainable budget allocation and policy decisions.
Table Of Contents
요약 3
제1장 서 론 2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30
제2장 2011년 사회예산의 특징과 변화 35 제1절 2011년 재정 여건과 재원배분 35 제2절 2011년 사회예산의 변화 39 제3절 2011년 사회예산의 특징 44
제3장 2011년 보육 및 가족‧여성예산의 특징과 변화 55 제1절 보육 및 가족‧여성 부문의 전반적 예산 추이 55 제2절 단위사업별 예산 분석 56 제3절 회계별 예산 분석 65
제4장 2011년 노인예산의 특징과 변화 71 제1절 노인 예산 변화 추이 71 제2절 2011 노인복지 주요 사업별 내용 73 제3절 2011 노인 예산의 특징 76 제4절 노인복지분야 예산 분석 및 향후 정책방향 80
제5장 2011년 보건예산의 특징과 변화 91 제1절 보건의료예산 현황 91 제2절 공공보건의료확충부문 예산분석 96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05
참고문헌 193
Local ID
연구보고서 2011-17-3
ISBN
978-89-8187-789-7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finan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