要兒死亡率은 國民所得이라는 기본적인 통계와 더불어 가장 많이 활용되는 統計로서 그 나라의 保健水準을 알아볼 수 있게 하는 指標이다. 그동안 많은 昭究와 努力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표確한 要兒死亡率에 관한 資料를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OECD 加入을 앞두고 正確한 통계자료를 生옳 提供해야 하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要兒死亡率생산에 醫樓保險資料를 이용하고 의료기관조사를 통해 出塵에서부터 우리나라 전체 出生兒의 生死를 추적하는 寶際資料에 바탕을 둔 要兒死亡率을 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연구목적 제3절 연구내용
제 2 장 각국의 영아사망자료생산 및 연구동향 제1절 영아사망률의 실태 제2절 각국의 출생아 자료 관리현황 제3절 외국의 영아사망률 추정방법 제4절 우리나라 영아사망률 실태
제 3 장 영아사망 조사설계의 기본방향 제1절 영아사망 관련자료의 종류 제2절 용어의 정의 제3절 조사대상 제4절 자료수집과정 제5절 조사방법
제 4 장 의료보험자료 분석내용 및 방법 제1절 전산화일 종류 및 수록내용 제2절 전산작업 과정 및 방법 제3절 전산연결 결과
제 5 장 의료기관 조사 제1절 출생 확인조사 제2절 영아사망 조사기관 선정 제3절 조사대상 의료기관명부 제4절 조사표 종류 제5절 조사표 작성 요령
제 6 장 조사추진 계획 제1절 영아사망 연구 추진체계 및 각 기관의 역할 제2절 조사수행 추진과정
참고문헌
부 록
Local ID
연구보고서 1995-08
ISBN
89-8187-004-7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Health care > Health care service
Population and family > Population 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