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contributor.author | 송건용 |
dc.contributor.author | 김영임 |
dc.contributor.author | 이의경 |
dc.date.accessioned | 2010-11-09T02:20:42Z |
dc.date.available | 2010-11-09T02:20:42Z |
dc.date.issued | 1990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634 |
dc.description.abstract | 우리나라는 1989년 7월 1일에 도시지역 의료보험을 실시함으로써 전 국민 의료보장시대가 실현되었다. 전 국민 의료보험시대의 보건정책의 일차적 목표는 첫째 전 국민 건강수준의 향상, 두번째 목표는 보건의료 서비스 이용의 향상 및 평등실현이다. 지역이나 사회 계층간 차이없이 건강과 의료이용의 평등실현이 보건정책의 중요한 정책과제가 된 것이다.
- 지역 및 사회계층별 이환수준, 문제가 되는 이환의 종류, 의료 요구수준에 관한 자료수집, 이환수준의 지역 및 계층간 격차는 측정
- 지역 및 사회계층별 의료이용 및 의료 충족수준 측정, 의료이용의 불평등 정도 및 특정 분석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I. 서론
1. 조사의 배경
2. 목적
3. 방법
II. 건강수준
1. 15일간 이환
2. 만성이환
3. 주관적 판단에 의한 건강상태
4. 의료요구
5. 연간 활동제한 및 침상와병일수
III. 외래진료
1. 의료체계 접촉경험 및 의료이용 수준
2. 의료이용 양상
3. 연간 외래 수진빈도
4. 만성이환 치료
5. 지출의료비
6. 의료충족
IV. 입원진료
1. 입원수준(입원률)
2. 입원구조
3. 재원기간
V. 요약 및 결론
1. 요약
2. 결론
부록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1989년도 국민건강 조사 - 이환 및 의료이용 -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1990-28 |
dc.subject.kihasa | 건강증진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자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