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장수마을에 대한 개념, 국내외사례분석, 장수개발지역에 대한 주민욕구 및 환경자원분석, 세부추진계획안(건강장수마을주민의 소득증대를 위한 유휴노동력 활용방안, 관광지역으로의 개발을 통한 건강장수마을의 활용방안, 사회교육자원으로써의 건강장수마을의 활용방안, 경북노인복지종합계획과 건강장수마을 개발계획간 연계방안, 건강장수지원센터의 건립 및 운영계획안) 개발 및 추진전략 등을 마련함.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제2절 연구목적 제3절 연구방법
제2장 건강장수의 이론적 고찰 제1절 건강장수의 개념 제2절 건강장수(healthy ageing)의 전략 제3절 건강장수마을의 개념정의
제3장 경북 건강장수지역의 보건복지욕구 및 사회환경자원 실태 제1절 건강장수마을 주민의 생활 및 경제실태 및 사회적 욕구수준 제2절 건강장수마을 주민의 보건의료 욕구수준 제3절 4개 시군지역의 주요 사회?자연환경자원 실태 제4절 건강장수마을의 특성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