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기후변화녹색성장 종합연구: 사회보건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적응역량 강화

제목
기후변화녹색성장 종합연구: 사회보건분야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및 적응역량 강화
저자

신호성 ; 이수형채수미김동진 ; 홍미영 ; 박명숙 ; 우이지영 ; 김기웅 ; 이승준 ; 추장민 ; 임종한 ; 배현주 ; 백승아 ; 성혜정 ; 김환철 ; 이동훈

키워드
기후변화 ; 보건의료정책
발행연도
201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기후변화는 모든 보건의료정책의 결과와 영향을 평가하는 주요 기준 중의 하나로 설정되어야 함. 기후변화 적응 연구는 정책설정 및 추진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며 기후변화 적응 전 과정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함.
◈ 건강 및 보건 분야 이외에 범죄발생, 실업(또는 고용), 교육, 인구이동 등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이 연구주제로 포괄되고 지역사회 차원에서 적응력 증진을 위한 자료수집, 적응력 개선 방법, 정부, 지방정부의 지역사회 지원 방안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 또한 기존의 적응대책의 영향을 평가하고 비공공부문(민간기업, NGO, 지역사회 등)에 의한 기후변화 적응 대책의 시행 영향을 평가함.
◈ 연구의 발전단계별 연구방향에 맞추어 연차별 주요 연구주제를 선정하였으며, 향후 3년간의 연차별 주요 연구주제와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 표와 같음.

Climate change will have significant physical, mental impacts and the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climate change will affect people's access to basic goods and services such as water, shelter and food, as well as other key priorities for human wellbeing such as education, employment and protection from crime. Evidence shows that not only are the deprived people often more exposed to specific climate change impacts, they are also more vulnerable to those impacts. Climate change will widen existing inequ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One is to model a peoples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focused on health, and the other is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climate change and the morbidity and mortality of diseases.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 of climate change focused on health consists of six layers, which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IPCC vulnerability concepts (exposure,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and the pathway of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climate change modulators on health. IPCC indicated the modulators as environments, social conditions, and health systems. The first layer of vulnerability assessment model is climate factors such as the future change of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humidity and their variabilities. The second layer is the magnitude and distribution of climate change related to diseases. The third one is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diseases prevalence, and is composed of natural environment such as ozone condition, ecological system, vegetation area and man-made environment like heat island, housing condition, and land-use alteration.
The fourth layer is vulnerable population distribution of climate change. We follow the SNIFFER classification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framework (SNIFFER reported that vulnerable people are likely to be those who live in the area at risk, being socially deprived and disempowered). The fifth layer describes social conditions, which are associated with social resources and upstream determinants of health. The final layer of vulnerability model is the health system. In particular, public health initiatives are crucial to the success of adaptation policy and community mobilizing.
Despite of several experiments and studi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on municipal level, the vulnerability research and practice is just the beginning. This is mainly due to the uncertainty of effects of adaptation process on health, and the assessment of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needs long-term approach and continuous improvement and compensation.
목차
제1장 문헌고찰
제1절 기후변화와 암발생
제2절 기후변화와 폭염
제3절 기후변화와 신체활동
제4절 기후변화와 정신건강

제2장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 개발
제1절 취약성 개념
제2절 취약성 평가방법
제3절 국내 취약성 평가 연구 동향
제4절 본 연구의 취약성지표 개발 방향

제3장 분석방법
제1절 시공간 분석
제2절 공간개념과 크리깅

제4장 취약성 평가 계층구조
제1절 기상요소(지표면 온도 추정)
제2절 질병분포
제3절 원거리조작 감시자료(Remote Sensing Surveillance)
제4절 기후변화 취약계층
제5절 사회여건
제6절 보건의료체계

제5장 만성질환 시공간분석
제1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제2절 분석결과

제6장 가구별 기후변화 취약요소의 공간분포 분석
제1절 서론
제2절 기후변화 취약요소의 자료 취합
제3절 기후변화 취약요소의 공간적 분포
제4절 결론

제7장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계층의 건강영향조사와 예방대책 수립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제3절 연구 결과
제4절 결 론

부록

참고문헌
보고서 번호
협동연구 2010-02
ISBN
978-89-8187-747-7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