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석재은 |
dc.date.accessioned | 2011-01-05T06:45:06Z |
dc.date.available | 2011-01-05T06:45:06Z |
dc.date.issued | 2004-07-01 |
dc.identifier.issn | 1226-072X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818 |
dc.description.abstract | 본 논문에서는 연금의 성별 격차를 연금의 적용범위와 급여수준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여성의 경제활동과 가족변화에 따른 취약성을 고려하여 연금보장을 위한 연금개혁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여성의 연금수급권은 개별수급권과 파생수급권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혼 및 재혼의 증가로 인한 남성 가장 소득자 중심의 가족보장 모형의 한계를 고려할 때, 파생적 수급권은 한계를 지닌다. 또한 노동시장의 유연화 및 고용형태의 다양화(불안정ㆍ비정규 근로형태의 증가)로 인한 상시 완전고용에 기반한 보장모형의 한계를 감안할 때, 고용 및 갹출과 연계된 연금권은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성의 연금권 보장을 위한 연금개혁 방향은 1인 1연금에 기반한 개별수급권을 강화하는 방향이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즉, 갹출이나 고용이력과 관계없이 시민권에 기반하여 조세를 통한 재원조달에 입각하여 연금수급권을 부여하는 1인 1연금의 기초연금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paper examines gender differences in coverage of public pension and level of benefit in Korea. And it proposes alternatives of pension reform for women with considering the weakness of women in economic activities and in family change. There are individual right from oneself and derived right from spouse in pension security for women. As considering of the serious change from family support model based on male breadearner to damage of family support model based on increase of divorce and re-marriage, the derived right has limitation in side of pension security for women. And as considering of the serious change from the labour market model based on full employment to flexibility of labour market and diversity of employment pattern based on increase of atypical worker, the pension right related employment and contribution must be very restrictive. Thus this Paper persist that the direction of pension reform should be strengthen individual right based on one basic pension per one person regardless of employment and contribution through tax financing.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Ⅰ. 서론 Ⅱ. 여성과 연금보장에 관한 이론적 검토 Ⅲ. 연금의 성별 격차 Ⅳ. 여성의 연금보장을 위한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Summary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37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연금의 성별 격차와 여성의 연금보장 방안 |
dc.title.alternative | Gender-Pension Gap and Pension Security for Women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연금 |
dc.subject.keyword | 여성 |
dc.subject.keyword | 성 |
dc.subject.keyword | 노령소득보장 |
dc.citation.title | 보건사회연구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
dc.citation.volume | 24 |
dc.citation.number | 1 |
dc.citation.startPage | 93 |
dc.citation.endPage | 129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사회연구 제24권 제1호, pp.93-129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24 No.1, pp.93-129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