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우리나라는 만성질환의 증가, 소득수준의 향상, 의료의 보장성 강화, 다양한 진료행위 및 의료기술 발전, 고령화, 민간보험의 활성화 등으로 보건의료부문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의료비 증가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임
- 우리나라 보건의료 통계생산에 있어서는 보건의료이용실태와 의료비 지출수준 특히, 본인부담, 민간의료보험에 대한 실태, 의약품 및 기타 건강관련 지출 등에 대한 과학적인 데이터 생산이 미흡한 실정임.
Table Of Contents
제1장 조사 개요 제1절 한국의료패널 조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한국의료패널 조사의 추진체계 및 수행절차 제3절 표본설계
제2장 설문지 및 건강가계부 설계 제1절 설문지 설계 제2절 건강가계부 설계
제3장 예비조사 및 가구유치조사 제1절 예비조사 제2절 가구유치조사
제4장 2008년 한국의료패널 조사 진행 제1절 인지조사 및 자문회의를 통한 개선사항 제2절 2008년 한국의료패널 실사 과정 제3절 조사 완료율 및 자료입력
제5장 한국의료패널 가구 관리 제1절 패널가구 관리의 중요성 제2절 패널 관리 및 운영
제6장 한국의료패널 향후계획 및 기대효과 제1절 한국의료패널 향후 계획 제2절 기대효과
Local ID
Research Monographs 2008-22-2
ISBN
978-89-8187-521-3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General social security > Social security statistics
Health care > Health care service
Health care > Health care safety net
Health care > Health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