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교육, 내구재, 임금 등 출산율 저하의 요인이 여성노동과 성장에 미치는 효과 = A Study of Effects of Factors for Fertility Decrease(Education, Durables, Wages) on Women Work and Growth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병우
dc.date.accessioned2011-01-05T06:25:48Z
dc.date.available2011-01-05T06:25:48Z
dc.date.issued2010-06-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63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출산율 하락의 원인과 효과를 이론적 모형(중첩세대모형)과 실증적 모형(공적분분석)을 통해 분석한다. 직관적으로, 현재의 출산율 하락은 여성근로의 상대임금 상승에 따른 대체효과의 우위 또는 자녀에 대한 양적 선택보다 질적 선택을 한 결과로 여겨진다. 우리 경제에서 출산율 변수와 관련된 인과관계는 교육수준(또는 내구재 기술혁신), 상대임금 → 출산율 → 여성 노동시장참가, 경제성장으로 나타난다. 실증분석을 통해 여성의 출산율은 (여성 인적투자 등의 요인으로) 남성간 상대임금 변화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현재의 출산율 하락은 여성의 인적자본 축적, 절대적 임금격차의 확대 등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실증분석 결과는 우리 경제에서 남성임금 대비 여성임금의 비율은 상승추세를 보여 출산율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지만, 교육수준의 상승에 따른 평균 임금상승은 출산율을 오히려 하락시키는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이같이 가계의 시점간 효용극대화 과정에서 결정되는 출산율은 여성 노동공급과 경제성장에 다시 영향을 미친다. 즉, 출산율 저하 또는 자녀수에 대한 선호 감소 및 내구재 가격하락 등은 여성의 시장부문 노동참가를 증가시켰고 역설적이게도 이는 우리 경제의 성장에 기여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e and effect of low fertility using theoretical(OLG) and empirical(cointegration) models. Intuitively, current low fertility seems to be the results of substitution effects from rising relative wage of females and transition from quantitative choice to qualitative choice. Cointegration analyses and causality tests show that, in the Korean economy, the following causality exists: education level of women(and innovation in household durables), relative wage of women→ fertility rat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women, economic growth. We can infer that the accumulation of human capital of female workers and enlargement of absolute wage gap contribute to the current low fertilit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decrease in fertility cause opposite effects on economic growth. It decreases available labor force in the future, but increases the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of women. In addition, the decrease in the price of durables due to innovation promoted the participation of female workers into labor marke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기본모형과 실증분석 Ⅲ.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교육, 내구재, 임금 등 출산율 저하의 요인이 여성노동과 성장에 미치는 효과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Effects of Factors for Fertility Decrease(Education, Durables, Wages) on Women Work and Growth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기술진보
dc.subject.keyword상대임금
dc.subject.keyword출산율
dc.subject.keyword여성 노동시장 참가
dc.subject.keywordTechnical Innovation
dc.subject.keywordEconomic Growth
dc.subject.keywordFertility Rate
dc.subject.keywordLabor Force Participation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0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111
dc.citation.endPage14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0권 제1호, pp.111-14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0 No.1, pp.111-141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