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장애인장기요양욕구 대상자 선정기준 및 수요추계 기본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jection of Long-Term Care for the Disabled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임정기
dc.date.accessioned2011-01-05T06:24:07Z
dc.date.available2011-01-05T06:24:07Z
dc.date.issued2008-12-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557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장애인 장기요양제도를 도입하는데 있어 대상자 선정기준이 되는 장기요양욕구를 정의하고 이에 따른 수요추계 모형을 도출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기능상태 중심인 장애유무와 정도를 요양욕구로 정의하는 경우와 둘째 서비스 이용량과 관련하여 서비스 필요도에 의한 요양욕구로 정의하는 경우로 나누었다. 그 외, 주관적 도움 필요도, 수발실태, 서비스 이용의향, 그리고 경제상태 등을 기준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추계 결과 전체 장애인의 19.8(416,009명)~25%(525,264명)가 장기요양 수요자로 나타났으며, 65세 미만의 경우에는 10.6(222,712명)~13.8%(289,945명)가 장기요양 수요자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장애인장기요양욕구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적 정의를 시도하여 수요추계 모형을 개발했다는 점과 이에 따른 수요추계를 실증적인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수요추계는 제도의 실행모형에 있어 중요한 근간이 되며, 아울러 소요재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라고 할 때 향후 제도도입과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various need prospecting models for establishment of the disabled long-term care system in Korea. Denfinitons of long-term care need include disabiliyt degree(i.e. disablities of ADL, IADLA), service resource utilization, subjective helping demand, carer status, service use preference and economic status. By secondary data analysis of 2005 the national survey for the disabled,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Estimating results show prospections of long-term care need for the Disabled are 19.8~25% of total disabled people and 10.6~13.8% of below 65 years disabled people. This study is to provide primary information for the practice model and finance of longterm care schem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장애인장기요양욕구 대상자 선정기준 및 수요추계 기본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Projection of Long-Term Care for the Disabled in Kore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장애인장기요양제도
dc.subject.keyword장기요양욕구
dc.subject.keyword대상자 선정기준
dc.subject.keyword기본적일상생활수행능력
dc.subject.keyword수단적일상생활수행능력
dc.subject.keyword서비스 자원이용량
dc.subject.keyword수요추계
dc.subject.keywordLong-Term Care System for The Disabled
dc.subject.keywordLong-Term Care Need
dc.subject.keywordEligibility
dc.subject.keyword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dc.subject.keyword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dc.subject.keywordService Resource Utilization
dc.subject.keywordNeed Prospection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28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85
dc.citation.endPage20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28권 제2호, pp.185-20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28 No.2, pp.185-208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