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연구는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지향성을 명확히 하고 그에 기초하여 표본설계와 조사표 내용상의 개선방안을 모색 -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 - 표본설계관련 주요 이슈와 개선방안의 모색 - 2004년도 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시사점에 기초하여 ‘2008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설문지 구성과 관련된 구체적인 개선방안이 제시
제3장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기본방향 제1절 노인의 다양한 생활 영역과 욕구의 포괄적 파악 제2절 학술연구의 활용도 향상을 위한 척도의 적극적 활용 제3절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정책수립에 필요한 자료 확보 제4절 고령화 적응력 제고방안 모색을 위한 자료 확보 제5절 국제적 흐름의 반영 제6절 지역통계 산출이 가능한 표본설계 및 규모
제4장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표본설계 개선방안 및 패널화 방안 제1절 표본설계 개선방안 제2절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의 패널화 방안
제5장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설문지 개선 방안 제1절 가구조사 설문지 제2절 노인 개인조사 제3절 종합
제6장 연구결과 요약 및 제언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향후 과제
Local ID
연구보고서 2007-19-3
ISBN
978-89-8187-469-8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Social service > Welfare for older persons
Population and family > Responses to population ag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