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여유진 |
dc.contributor.author | 김수정 |
dc.contributor.author | 구인회 |
dc.contributor.author | 김계연 |
dc.date.accessioned | 2010-11-09T02:19:43Z |
dc.date.available | 2010-11-09T02:19:43Z |
dc.date.issued | 2007 |
dc.identifier.isbn | 978-89-8187-443-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82 |
dc.description.abstract | -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자녀의 교육성취에 어떻게 얼마나 영향을 미치며, 반대로 교육성취가 노동시장 성과와 빈곤지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각각 살펴봄. -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 → 자녀의 교육성취 → 자녀의 노동시장 성과(소득)의 인과관계가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지를 포괄적으로 분석 - 현재 우리나라에서 교육을 매개로 한 사회 불평등구조와 빈곤의 대물림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교육과 관련된 사회정책 수립에 함의 도출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및 한계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교육 불평등과 사회 불평등 제2절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확대 과정과 결과 제3절 분석틀: 교육 불평등과 빈곤의 대물림 제3장 교육이 빈곤지위에 미치는 영향: 1985년~2006년 도시가계조사 분석 제1절 연구문제 제2절 자료 및 분석변수 제3절 교육수준별 빈곤지표의 변화(1985-2006) 제4절 교육의 분포효과와 불평등효과 제5절 소결 제4장 교육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1985~2006년 도시가계조사 분석 제1절 연구문제 제2절 자료 및 분석 방법 제3절 분석결과 제4절 소결 제5장 가족배경과 교육성취: 교육고용패널 자료분석 제1절 연구문제 제2절 분석자료 및 분석모형 제3절 분석결과 제4절 소결 제6장 교육수준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소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지패널 분석 제1절 연구문제 제2절 자료 및 분석 방법 제3절 분석결과 제4절 소결 제7장 결론 및 함의 제1절 연구결과의 요약 제2절 연구결과의 함의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교육불평등과 빈곤의 대물림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 여유진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07-09 |
dc.subject.kihasa | 소득보장 일반 |
dc.subject.kihasa | 사회통합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