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신중년의 불안정 노동 유형과 영향 요인: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Precarious Labor and Its Determinants of Precarious Labor in New Middle-Aged Adults: Using Group Based Trajectory Analysis

제목
신중년의 불안정 노동 유형과 영향 요인: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Precarious Labor and Its Determinants of Precarious Labor in New Middle-Aged Adults: Using Group Based Trajectory Analysis
저자

이선우 ; 최혜빈

저자(타언어)
Lee, Sunwoo ; Choi, Haebin
키워드
신중년 ; 불안정 노동 ; 집단중심추세분석
발행연도
2025-09-3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3호, pp.475-495
초록
이 연구는 현재 중고령에 해당되는 신중년이 직면하고 있는 노동시장의 불안정성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고용상태, 소득수준, 사회보장 기대감 수준에 따라 노동시장에서의 불안정성을 유형화하고, 불안정 노동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관리하고 있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Ageing: KLoSA)의 5- 9차년도까지(2014∼2022년)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집단중심추세분석(Group-based Trajectory Analysis)을 통해 신중년의 불안정 노동 궤적을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1) ‘저소득 비임금근로자형’, (2) ‘저소득 자영중심형’, (3) ‘중소득 단순직형’, (4) ‘중저소득 상용직형’, (5) ‘고소득 상용직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삶의 질, 고용안정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신중년의 유형별 궤적을 통해 신중년의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들의 역할과 특성을 반영한 정책 및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5.45.3.475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