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청년 이행경로 변화의 파급효과와 인구사회정책적 함의 = Changes in Youth Transition Pathways: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for Population and Social Policy

제목
청년 이행경로 변화의 파급효과와 인구사회정책적 함의 = Changes in Youth Transition Pathways: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for Population and Social Policy
저자

김문길(Kim, Moon-Gil) ; 박소은(Park, Soeun) ; 노법래 ; 변소연

저자(타언어)
Kim, Moon-Gil ; Park, Soeun ; Roh, Beop Rae ; Byeon, So Yeon
키워드
청년 ; 성인으로의 이행경로 ; 이행지연 ; 청년배낭 ; 일자리보장제
발행연도
202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의 성인기로의 이행경로 변화가 개인·가족·사회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인구사회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핵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경험과 낮은 학력은 취업·분가·결혼 이행을 지연·정체시키며 누적적 불이익을 강화한다. 둘째, 지연·미이행은 평균적으로 정신건강(우울감 등) 악화와 연관된다. 셋째, 취업과 결혼의 시점은 이후 소득·출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부모에게는 물질적 부담이 증가하나 정서적 효과는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거시적으로는 ‘지연된 이행 함정’이 인구·경제·사회 전반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정책적으로는 생애주기 관점에서 청년정책을 재정렬하고, 아동·청소년 단계의 조기개입을 확대하며, 주거·고용안정·교육투자를 통합 강화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결론에서는 이행기 지원 정책을 권리로 보장한다는 차원에서 ‘청년배낭’과, 기후, 돌봄 영역에서의 양질의 일자리를 보장하는 참여소득형 ‘일자리보장제도’를 정책수단으로 제시한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15
제3절 이론적 논의 16

제2장 청년 생애사 이행 궤적의 집단별 특성과 청년기 이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39
제1절 개요 41
제2절 분석 방법 43
제3절 분석 결과 48
제4절 소결 80

제3장 이행기 특성 변화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 85
제1절 서론 87
제2절 분석 개요 92
제3절 분석 결과 106
제4절 소결 127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131
제1절 주요 결과 요약 133
제2절 이행기 특성 변화의 거시적 영향 135
제3절 정책제언 143

참고문헌 153

Abstract 164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4-53
ISBN
9791172520700
DOI
10.23060/kihasa.a.2024.53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