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가정외보호 경계선지능아동 지원체계 진단 및 내실화 방안 연구 = The Support System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in Out-of-Home Care: Diagnosis and Policy Recommendations

제목
가정외보호 경계선지능아동 지원체계 진단 및 내실화 방안 연구 = The Support System fo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in Out-of-Home Care: Diagnosis and Policy Recommendations
저자

임성은 ; 이은주 ; 박현숙 ; 이주민 ; 민구홍

저자(타언어)
Lim, Sung Eun ; Lee, Eun Joo ; Park, Hyun Suk ; Lee, Joomin ; Min, Koo-Hong
키워드
가정외보호 ; 경계선지능아동 ; 청소년 ; 아동보호체계 ; 청소년보호체계
발행연도
2025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경계선지능아동을 위한 지원 정책 현황과 지원체계 전반을 진단하여 실질적인 지원 강화 및 지원체계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경계선지능아동 지원 욕구와 지원 효과를 파악하고, 가정외보호 실무자 대상 FGI 등을 실시하여 경계선지능 진단 및 지원체계에 관한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주요 개선 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경계선지능아동을 위한 가정외보호 양육 인프라 개선과 관련 법령 개정, 경계선지능아동의 행동 특성 및 집단생활 환경에 적합한 차별화된 행동지원체계 및 전문 컨설팅 체계 구축, 개별보호관리계획의 법적 역할과 기능 구체화, 종사자 역량 강화 등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9
제1절 경계선지능의 개념 21
제2절 경계선지능 진단 도구 25
제3절 경계선지능아동·청소년의 특성 및 지원 욕구 36
제4절 경계선지능아동·청소년 개입 및 지원 효과 57

제3장 보호체계별 경계선지능 진단 및 지원체계 61
제1절 아동보호체계 63
제2절 청소년보호체계 96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02

제4장 경계선지능 진단 및 지원체계 주요 쟁점 107
제1절 FGI 개요 109
제2절 주요 분석 결과 116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63

제5장 아동보호치료시설의 기능 탐색 169
제1절 아동보호치료시설 일반 개요 171
제2절 아동보호치료시설 설문조사 방법 및 분석 결과 179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222

제6장 결론 225
제1절 연구 결과 종합 227
제2절 정책 제언 232

참고문헌 243

부록 253
[부록 1] 아동보호치료시설 설문조사 253
[부록 2] 국가기초학력지원센터 느린 학습자 선별 체크리스트(초등학생) 265
[부록 3] 국가기초학력지원센터 느린 학습자 선별 체크리스트(중학생) 268

Abstract 27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5-011
ISBN
9791172520908
DOI
10.23060/kihasa.a.2025.11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