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진로 미성숙에 미치는 영향: 가구 경제수준에 따른 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on Career Immaturity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nxiety by Household Economic Status

제목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진로 미성숙에 미치는 영향: 가구 경제수준에 따른 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on Career Immaturity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nxiety by Household Economic Status
저자

이래혁 ; 이재경

저자(타언어)
Lee, RaeHyuck ; Lee, Jae-Kyoung
키워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 진로 미성숙 ; 불안 ; 가구 경제수준
발행연도
2025-06-3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2호, pp.101-121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진로 미성숙에 미치는 영향, 불안의 매개효과, 가구 경제수준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의 검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10대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의 원자료와 PROCESS Macro 방법을 활용하여 일련의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은 진로 미성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청소년의 불안은 부분 매개효과를 보여주었다. 즉,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불안을 증가시켰고, 이어서 진로 미성숙 수준을 증가시켰다. 셋째, 불안의 매개효과는 가구 경제수준에 따라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이 불안을 통해 진로 미성숙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가구 경제수준이 ‘중’과 ‘상’인 경우에 비해 ‘하’인 경우에 더 두드러졌다. 본 연구에서 밝혀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의 진로 성숙을 촉진하기 위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에 개입하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5.45.2.101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