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중증장애인 2배수 인정제의 노동시장 효과 분석: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Hierarchy of Impairment and Labor Market Vulnerability in Disability Employment Policy: Focus on the Impact of the Double Count Policy for Severely Disabled Workers

제목
중증장애인 2배수 인정제의 노동시장 효과 분석: 장애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Hierarchy of Impairment and Labor Market Vulnerability in Disability Employment Policy: Focus on the Impact of the Double Count Policy for Severely Disabled Workers
저자

강의영

저자(타언어)
Kang, Euiyoung
키워드
중증장애인 2배수 인정제 ; 성향점수매칭 ; 차분법 ; 손상의 위계 ; 노동취약성
발행연도
2025-06-3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2호, pp.208-236
초록
본 연구는 2010년 도입된 중증장애인 2배수 인정제가 장애인 고용에 미친 영향을 장애인고용패널 1차 웨이브 자료를 통해 성향점수매칭, 이중차분법, 삼중차분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해당 제도가 중증장애인의 고용을 전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상용근로 가능성은 오히려 감소시켰고 임금과 직업지위 개선 효과를 가져오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장애유형별 분석에서는 중증 신체외부 장애인에 비해 중증 감각장애인과 신체내부 장애인의 고용 성과가 더 낮으며, 정신적 장애인의 경우 모든 지표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해당 제도가 중증장애인의 양적 고용 증가에 기여했으나, 고용 안정성과 일자리의 질을 유의미하게 개선시키지 못했으며, 그 영향 역시 장애유형에 따라 상이하여 손상의 위계를 재생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 2배수 인정제가 특히 중증의 신체내부·정신적 장애인의 고용안정성과 직무적합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5.45.2.208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장애인 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