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근로시간 분포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OECD 19개국 결합시계열분석을 중심으로 = Effects of Working Hours Distribution on Fertility: A Pooled Time-Series Analysis of 19 OECD Countr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남재욱
dc.date.accessioned2025-07-03T09:54:50Z
dc.date.available2025-07-03T09:54:50Z
dc.date.issued2025-06-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근로시간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OECD 19개국의 2000~2018년 자료를 바탕으로 결합시계열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 연구가 밝혀온 근로시간과 출산율의 관계에 더하여 근로시간의 길이뿐 아니라 분포가 출산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여성과 남성의 근로시간이 각각 출산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요인들이 통제된 모형에서 총근로시간은 출산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총근로시간 자체보다는 40시간 미만 노동자 비율이 출산율을 낮추는 데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20시간 미만 초단시간 노동의 증가는 출산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여성뿐 아니라 남성의 근로시간 분포도 출산율에 동일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중간 수준의 근로시간 분포(주당 20~40시간)는 근로시간이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 매개한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따르면 출산율 제고를 고려한 근로시간 단축 정책은 초단시간 근로의 증가, 여성에 대한 별도의 시간지원보다 노동시장 참여자 전반의 단축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는 여전히 장시간 근로가 지배적이고, 최근 주 40시간(최대 52시간)제도의 유연화를 요구하고 있는 우리나라 노동시장정책의 흐름이 출산율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conducted a pooled time-series analysis using data from 19 OECD countries from 2000 to 2018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effect of working hours on fertility. Build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hours and fertility that has been established by previous studies, we analyzed how the distribution and the duration of working hours affect fertility,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differences between women and men.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ith other factors controlled for, total working hours have a negative effect on fertility. Second,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work less than 40 hours per week has a greater effect on reducing the birth rate than total working hours alone. However, an increase in ultra-short-hour work (fewer than 20 hours per week)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birth rate. Third, the distribution of working hours for both women and men has a similar effect on the fertility rate. Fourth, the distribution of working hours at the intermediate level (20 to 40 hours per week) fully mediates the effect of working hours on fertil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terms of the effect on fertility, policies on working hours should prioritize reducing overall working hours for all workers rather than simply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time jobs or offering targeted time-support measures for women. This suggests that the current trend in South Korea's labor market policy, which continues to favors long working hours and supports a flexible application of the the existing 40-hour workweek with a 52-hour cap, may negatively affect fertility.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근로시간 분포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OECD 19개국 결합시계열분석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Effects of Working Hours Distribution on Fertility: A Pooled Time-Series Analysis of 19 OECD Countri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근로시간
dc.subject.keyword출산율
dc.subject.keyword노동시장
dc.subject.keyword결합시계열분석
dc.subject.keyword매개효과
dc.subject.keywordWorking Hours
dc.subject.keywordFertility
dc.subject.keywordLabor Market
dc.subject.keywordPooled Time-Series Analysis
dc.subject.keywordMediating Effect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hm, Jaewook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5.45.2.237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5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25-06-30
dc.citation.startPage237
dc.citation.endPage26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2호, pp.237-26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5 No.2, pp.237-261
dc.date.dateaccepted2025-07-03T09:54:50Z
dc.date.datesubmitted2025-07-03T09:54:50Z
dc.subject.kihasa노동연계복지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