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복지 서비스 통합을 위한 다부문 협력: 소지역 건강증진사업에서의 시사점 = Multisectoral Collaboration for Integrating Health and Social Services: Insights from Neighborhood-Level Health Promotion

제목
보건복지 서비스 통합을 위한 다부문 협력: 소지역 건강증진사업에서의 시사점 = Multisectoral Collaboration for Integrating Health and Social Services: Insights from Neighborhood-Level Health Promotion
저자

허현희 ; 이예인 ; 남만석 ; 최민혁 ; 윤태호

저자(타언어)
Heo, Hyun-Hee ; Lee, Yein ; Nam, Man Seok ; Choi, Minhyeok ; Yoon, Taeho
키워드
보건복지 통합서비스 ; 다부문 협력 ; 소지역 ; 건강증진 ; 통합돌봄
발행연도
2025-06-3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2호, pp.352-376
초록
본 연구는 소지역 건강증진사업에서 보건복지 서비스 통합의 현황, 저해 요인 및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소지역 건강 및 복지사업 관련 경험이 있는 핵심 이해관계자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녹취된 자료는 주제 분석하였다. 통합에 대한 구조적 이해를 위해 발렌틴 외의 ‘통합돌봄 개념틀’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증진사업 내 통합은 미시적(실천현장), 중간, 거시적(제도) 수준에서 다차원적 구조로 이루어지며, 각 차원은 통합의 저해 및 촉진 요인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적 수준에서는 실무자의 과중한 업무 부담과 협력의 후순위화가 장애요인으로, 다부문 협력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훈련이 필요했다. 중간 수준에서는 전문직 간 역할의 불명확성과 협의체의 형식적 운영이 문제였으며, 전문직 간 위계와 문화 차이를 조정하고 주민 참여를 통한 협의체의 실질적 운영이 요구되었다. 거시적 수준에서는 보건복지 정책 연계 부족과 운영 지침 부재가 장애요인으로, 정책의 지속성과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수적이었다.
소지역 건강증진사업의 측면에서 보건복지서비스의 효과적 통합을 위해서는 주민참여의 활성화, 소지역 보건기능의 강화, 인구집단에 기반한 접근이 강조되며, 통합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부문 협력이 필요하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5.45.2.352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지역사회보장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