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모자의료센터 접근성과 모자보건의료 지표와의 연관성: 모자의료 진료권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ibility to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s and Maternal and Child Health Indicators: Focusing on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Service Areas

제목
모자의료센터 접근성과 모자보건의료 지표와의 연관성: 모자의료 진료권을 중심으로 =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ibility to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s and Maternal and Child Health Indicators: Focusing on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Service Areas
저자

신한수 ; 윤아리 ; 박주원 ; 서지우

저자(타언어)
Shin, Hansu ; Yoon, Ari ; Park, Joowon ; Seo, Jiwoo
키워드
GIS ; 모자의료 진료권 ; Neonatal Intensive Care Unit(NICU) ;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MFICU) ; 모자보건의료 지표
발행연도
2025-06-3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2호, pp.377-395
초록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정부의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분만 의료기관의 감소와 의료 인력 부족으로 분만 인프라가 붕괴되고 있다. 특히 지방에서는 의료 접근성 격차가 심화되고 있어, 진료권 기반의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모자의료 진료권 설정을 통해 임산부와 신생아의 의료 접근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만 인프라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자의료 진료권은 Hierarchical Clustering을 기반으로 한 Dartmouth Atlas 수정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총 31개 진료권이 도출되었다. 또한, 진료권별 모자보건의료 지표를 분석하고, 모자의료센터까지 이동거리와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동 거리가 평균을 초과하는 지역에서 모든 모자보건의료 지표의 사망비와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검정과 피어슨 상관분석 결과, 모성사망비를 제외한 나머지 지표들 간 유의미한 연관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 간 의료 접근성 격차 해소와 분만 인프라 강화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모자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5.45.2.377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서비스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