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당뇨병 환자의 건강의식이 우울증에 미치는 연속다중매개효과와 성별 조절효과 = Serial Mediation Effects of Health Consciousness on Depression in Diabetes Patients: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Title
당뇨병 환자의 건강의식이 우울증에 미치는 연속다중매개효과와 성별 조절효과 = Serial Mediation Effects of Health Consciousness on Depression in Diabetes Patients: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Author(s)

정단단 ; 서정교

Alternative Author(s)
Zheng, Dandan ; Suh, Jeongkyo
Keyword
당뇨병 ; 우울증 ; 건강의식 ; 신체활동 ; 범불안장애
Publication Year
2025-06-30
Publisher
한국보건사회연구
Citation
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2호, pp.675-695
Abstract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우울증 발병 경로를 규명하기 위해 건강의식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신체활동과 범불안장애의 다중매개효과 및 성별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SPSS와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당뇨병 환자의 6.2%에서 중등도 이상의 우울 증상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0.7%는 중증 우울증으로 분류되었다. 건강의식은 우울증에 대한 직접적인 부정적 영향과 함께 신체활동 증가 및 범불안장애 감소를 매개로 한 다중간접경로를 통해 종합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활동 매개경로가 범불안장애 경로보다 더 큰 효과를 보여, 건강의식 향상이 신체활동 증진을 통해 우울증 예방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다중집단분석에서는 남성 환자그룹에서 건강의식이 우울증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력이 여성 환자그룹 대비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신체활동과 범불안장애를 통한 간접경로에서도 성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는 남성 환자그룹의 경우 건강의식 개선이 정신건강에 더 직결되는 반면, 여성 환자그룹에서는 신체활동 증진전략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당뇨병 관리전략 수립 시 건강의식 강화 프로그램이 우선적으로 도입될 필요가 있으며, 성별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5.45.2.675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보건의료 > 건강증진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