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코로나19가 취약층 고용과 소득에 미친 영향 국제비교 =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VID-19 Impact and Policy Responses - Germany, the United Kingdom, Norway,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제목
코로나19가 취약층 고용과 소득에 미친 영향 국제비교 =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VID-19 Impact and Policy Responses - Germany, the United Kingdom, Norway,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저자

김현경(Kim, Hyeon-Kyeong) ; 고혜진(Ko, Hyejin) ; 이아영(Lee, Ayoung) ; 한주희 ; 한수진

저자(타언어)
Kim, Hyeon-Kyeong ; Lee, Ayoung ; Ko, Hyejin ; Han, JooHee ; Han, Su-jin
키워드
코로나19 ; 팬데믹 ; 고용 충격 ; 고용유지정책 ; 가족돌봄정책 ; 재택근무
발행연도
2025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주요 5개국(독일, 영국, 미국, 노르웨이)를 대상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의 성과를 평가하고, 향후 유사한 위기에 대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한국은 대면업종과 자영업 비중이 높고, 임시·일용직이 많은 고용구조로 인해 고용충격에 특히 취약했으며, 여성의 고용충격이 두드러졌다.

코로나19 팬데믹은 한국 노동시장의 구조적 취약성과 고용안전망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냈다. 따라서 고용안전망을 강화를 위해 실업급여와 고용유지지원금의 범위를 확대하고, 가족돌봄휴가·휴직, 상병휴가 제도의 포괄성과 접근성을 강화하여 돌봄부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영업자와 노무 제공자에 대한 사회보장제도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론 9

제2장 주요국 코로나19 전후의 사회경제적 특성 15
제1절 각국 경제적 특성 17
제2절 코로나19 전후 고용 변화 24
제3절 각국의 일하는 방식 변화 37

제3장 한국의 코로나19 영향 45
제1절 서론 47
제2절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50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54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58
제5절 코로나19 고용과 소득 변화로 본 취약층 72
제6절 소결 82

제4장 독일의 코로나19 영향 83
제1절 서론 85
제2절 독일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88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97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100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116
제6절 소결 127

제5장 영국의 코로나19 영향 129
제1절 서론 131
제2절 영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133
제3절 분석자료 145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151
제5절 코로나19 고용과 소득 변화로 본 취약층 168
제6절 소결 183

제6장 미국의 코로나19 영향 191
제1절 서론 193
제2절 미국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199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223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228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258
제6절 소결 279

제7장 노르웨이의 코로나19 영향 281
제1절 서론 283
제2절 노르웨이의 코로나19 대응 주요 정책 288
제3절 분석자료 및 분석방법 294
제4절 코로나19 전후 고용과 소득 변화 297
제5절 취약층 고용과 소득 변화 323
제6절 소결 334

제8장 결론 337
제1절 요약 및 정리 339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51

참고문헌 359

Abstract 37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5-03
ISBN
9791172520823
DOI
10.23060/kihasa.a.2025.03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