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중장기 노후빈곤 전망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Mid- to Long-Term Analytical Model of Old-Age Pover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류재린
dc.contributor.author김지운
dc.contributor.author권도형
dc.contributor.author김희년
dc.contributor.author송창길
dc.contributor.author최준영
dc.coverage.temporal2024-01-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6-30T00:26:13Z
dc.date.available2025-06-30T00:26:13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63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66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중장기 노후빈곤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전망모형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빈곤의 개념, 측정 지표, 분석 및 전망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우리나라 실정에 부합하는 중장기 노인빈곤 전망모형을 시범적으로 구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내생적 노동공급 결정을 반영한 동태확률일반균형 모형(이질적 경제주체 중첩세대 모형, HA-OLG)을 활용하여 연금 및 공공부조의 소득분배 효과를 분석하고, 동태적 미시모의실험 모형(Dynamic Microsimulation Model)인 KIHASA SIM을 개선하여 중장기 노인빈곤을 전망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연금이 적정 급여 수준을 보장하지 못할 경우 노인빈곤이 구조적으로 지속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현재 노인세대의 빈곤 완화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국민연금의 내실화를 위해 연금 사각지대 해소, 가입기간 확대, 자격관리체계 개편, 노동시장과의 연계 강화 등이 함께 추진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foundational framework for modeling long-term elderly poverty in Korea, where rapid population aging and high elderly poverty rates persist as major social challenges. Recognizing the need for a structured approach to long-term poverty analysis, the study systematically reviews the concepts of poverty, measurement indicators, and analytical methodologies, and examines both macroeconomic and microsimulation modeling approaches. Specifically, the study develops two separate models: a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DSGE) model to evaluate the macroeconomic effects of social protection reforms, and a dynamic microsimulation model (MSM) to project elderly poverty under different policy scenarios. The DSGE model incorporates endogenous labor supply and includes Korea’s key old-age income security schemes—National Pension, Basic Pension, and Public Assistance. The MSM, based on the KIHASA SIM platform, is refined to simulate elderly poverty dynamics across birth cohorts. While the models are exploratory in scope, they offer a methodological basis for projecting income distribution outcomes and assessing poverty reduction effects of future reforms. The findings underscore the urgency of alleviating poverty among the current elderly population, while also highlighting the need for stronger policy measures such as narrowing the coverage gap in contributory pensions and reinforcing minimum income guarantees. Collectively, these contributions lay a foundation for advancing policy modeling tools that can inform future pension reforms and support effective strategies to reduce elderly pover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빈곤전망 톺아보기 15 제1절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 빈곤의 개념, 정의, 그리고 측정 18 제2절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가? 27 제3절 어떻게 전망할 것인가? 36 제4절 모형 구축에 대한 시사점 50 제3장 동태확률일반균형 모형을 이용한 소득보장제도의 빈곤완화 효과 분석 5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55 제2절 연구내용 57 제3절 선행연구 분석 59 제4절 모형 경제의 설정 63 제5절 모형의 캘리브레이션 70 제4장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모형을 이용한 중장기 노후빈곤 전망 95 제1절 분석 개요 97 제2절 분석 모형 100 제3절 정책 시뮬레이션 117 제4절 소결 124 제5장 결론 125 제1절 주요 내용 요약 127 제2절 정책 제언 129 제3절 향후 과제 132 참고문헌 135 Abstract 1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15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중장기 노후빈곤 전망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dc.title.alternative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Mid- to Long-Term Analytical Model of Old-Age Povert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노인빈곤
dc.subject.keyword동태적 미시모의실험 모형
dc.subject.keyword이질적 경제주체 중첩세대 모형
dc.subject.keywordElderly Poverty
dc.subject.keywordDynamic Microsimulation model
dc.subject.keywordHeterogeneous Agent Overlapping Generations(HA-OLG) mode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Ryu, Jaer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wo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on, Doh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ee-N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Changgi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Junyou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46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4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46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6-30T00:26:13Z
dc.date.datesubmitted2025-06-30T00:26:13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006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4-006-00]중장기 노후빈곤 전망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dc.subject.kihasa공공부조
dc.subject.kihasa공적연금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공공부조
소득보장 > 공적연금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