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의존적 계약자(dependent contractor)를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on Enhancing National Pension Coverage for One-Person Non-Wage Workers: Focusing on the Dependent Contractors

제목
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의존적 계약자(dependent contractor)를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on Enhancing National Pension Coverage for One-Person Non-Wage Workers: Focusing on the Dependent Contractors
저자

이다미(Lee, Dah-Mi) ; 한겨레 ; 김근혜 ; 남재욱

저자(타언어)
Lee, Dah-Mi ; Han, Gyeore ; Kim, Gunhye ; Nahm, Jaewook
키워드
국민연금 ; 고용형태 다변화 ; 1인 비임금근로자 ; 의존적 계약자
발행연도
202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최근 노동시장은 고용형태 다변화와 함께 전통적 고용관계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노동형태가 빠르게 확산되는 모습을 보인다. 그 중에서도 특수형태근로종사자, 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같은 ‘1인 비임금근로자’는 법적으로는 자영업자로 분류되지만 실질적으로는 임금근로자에 가깝게 종속적 노동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러나 이들은 고용계약을 맺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기존의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에서 배제되어 있으며, 국민연금과 같은 사회보험 사각지대에 놓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현실은 노동시장과 공적연금의 제도 정합성과 형평성 문제로 이어지며, 특히 국민연금의 가입구조와 가입자 관리가 급변하는 노동시장 환경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으로 이어진다. 국민연금은 한국의 노후소득보장체계에서 가장 핵심적인 제도로 기능하고 있지만 의존적 계약자를 포함한 1인 비임금근로자와 같이 소득 변동성과 불안정성이 크고 법적 지위가 모호한 취약 노동집단에 대하여 충분한 보호의 수준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과 제도의 포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들 집단에 대한 실태 파악과 함께 제도 설계의 근본적 재검토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비임금근로자의 노동세계와 국민연금 가입 실태, 그리고 제도 적용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의 국민연금 가입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구성 12

제2장 이론적 논의 15
제1절 고용형태 다변화에 따른 노동시장 구조 변화 17
제2절 1인 비임금근로자의 개념과 범주 20
제3절 고용형태 다변화와 공적연금 체계 28

제3장 1인 비임금근로자의 규모 변화와 국민연금 가입 37
제1절 ‘고용관계 밖’에 위치한 새로운 취약 노동집단의 등장 39
제2절 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실태 44

제4장 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제고를 위한 정책 요구 방향 51
제1절 분석 방향 53
제2절 분석 방법 56
제3절 1인 비임금근로자의 노동 및 소득, 사회적 보호 61
제4절 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관련 정책 욕구 96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25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127
제2절 1인 비임금근로자의 국민연금 가입 제고를 위한 시사점 132

참고문헌 137

부 록 145
부록 1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사업장가입자 전환 시 사용자 예상 부담금 145
부록 2 거주자의 업종별 사업소득 원천징수(연도별) 147
부록 3 인터뷰 질문지 149

Abstract 159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4-47
ISBN
9791172520649
DOI
10.23060/kihasa.a.2024.47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공적연금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