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으로 임신과 출산 지표는 2021년보다 악화하였다. 평균 임신 횟수, 임신 결과로써의 평균 출생 횟수, 실제 평균 출생아수, 가치의 측면인 이상자녀수 모두 2021년에 비해 하락하였다. 인식의 수준에서 결혼 필요성에 동의하는 비율은 눈에 띄게 증가하였지만, 자녀 필요성에 동의하는 비율은 아주 미미하게 증가했을 뿐이다. 성 역할 인식이 과거보다 더 평등하게 개선되었지만, 사회 전반에서 남녀가 평등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보다 여성이 크게 낮았다. 인구학적으로 출산 결정의 메커니즘을 고려하면, 어떤 정책이 출산 행동으로 이어지기까지는 매우 먼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정부의 저출산 대응 정책은 주로 출산가구에 집중해왔다. 그 이유는 더 빠른 정책 성과를 기대했기 때문이다. 이제 정부는 시계를 넓혀 청년들이 성인으로 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경제적 기반을 강화하는 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제3절 2024년도 조사의 특징 19
제2장 표본 설계와 가중치 23 제1절 표본 설계 25 제2절 가중치 39
제3장 응답자 및 가구의 일반 특성 41 제1절 응답자의 일반 특성 43 제2절 응답 가구의 경제 상황 45 제3절 응답 가구의 주거 상황 53
제4장 동거와 결혼 67 제1절 배우자 또는 교제상대 유무와 만남의 방식 70 제2절 법률혼과 사실혼 관계 77 제3절 결혼 의향에 따른 특성 분석 94 제4절 이혼 특성 120
제5장 임신과 출산 건강 127 제1절 생식 건강 129 제2절 임신ㆍ출산 이력과 자녀 계획 153 제3절 산전ㆍ산후 관리와 분만 173 제4절 수유 191
제6장 자녀 양육 199 제1절 자녀 돌봄과 양육 관련 감정 201 제2절 부부의 육아 분담 216 제3절 자녀 양육 비용과 정부 지원 221 제4절 부부의 가사 분담 240
제7장 일과 일·생활 균형 245 제1절 응답자 경제활동 특성 247 제2절 일·생활 균형의 어려움 254 제3절 일·가정 양립 제도 이용 경험 256
제8장 부모와의 관계 265 제1절 부모와의 친밀도 267 제2절 부모와 경제적 교환 관계 271
제9장 독립과 지역 이동 279 제1절 독립의 특성 281 제2절 지역 이동 298
제10장 가치와 인식 305 제1절 행복 307 제2절 가족 가치 309 제3절 성 역할 가치 321 제4절 사회적 가치 327
제11장 결론 337 제1절 요약 339 제2절 정책적 시사점 348
참고문헌 351
부록 353 [부록 1] 2024년도 가족과 출산조사 조사표 353 [부록 2] 2024년도 가족과 출산 조사 조사원 명단 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