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1인 가구 청년 임금근로자의 고용 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주거 불안정의 조절효과 분석 = The Impact of Employment Type on Depression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Wage Earners: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ing Instabili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양연재
dc.contributor.author송인한
dc.date.accessioned2025-04-03T06:52:59Z
dc.date.available2025-04-03T06:52:59Z
dc.date.issued2025-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240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에서 1인 가구 청년층의 급격한 증가와 이들의 정신건강 문제, 사회적 취약성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1인 가구 청년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고용 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주거 불안정이 조절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체 응답자 중 1인 가구 청년 임금근로자 3,710명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임시·일용직 근로자의 우울 수준이 상용직 근로자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거 불안정을 경험한 청년은 그렇지 않은 청년에 비해 우울 수준이 더 높았다. 셋째, 주거 불안정을 경험한 청년의 경우, 고용 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인 가구 청년 임금근로자의 정신건강을 위해 고용 안정성 확보와 함께 주거복지 관점에서의 정책적 지원 및 개입 필요성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rapid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mong young adults in South Korea, coupled with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and social vulnerabilities, has emerged as a critical social issu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employment type on depression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wage workers and examine whether housing instability moderates this relationship. Using data from the “2022 Survey on Youth Living,” the analysis focused on 3,710 single-person household wage worker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mporary and daily worker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depression compared to permanent workers. Second, young adults experiencing housing instability reporte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an their counterparts without such experiences. Third, the impact of employment type on depression was more pronounced among young adults facing housing insecurity.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policies and interventions that ensure employment stability and address housing welfare from a mental health perspective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wage workers.
dc.format.extent2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1인 가구 청년 임금근로자의 고용 형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주거 불안정의 조절효과 분석
dc.title.alternativeThe Impact of Employment Type on Depression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 Wage Earners: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Housing Instability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1인 가구 청년 임금근로자
dc.subject.keyword고용 형태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주거 불안정
dc.subject.keywordYoung Single-Person Wage Earners
dc.subject.keywordEmployment Type
dc.subject.keywordDepression
dc.subject.keywordHousing Insecurity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ang, Yeonj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In Han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5.45.1.98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5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25-03-31
dc.citation.startPage98
dc.citation.endPage12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1호, pp.98-12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5 No.1, pp.98-121
dc.date.dateaccepted2025-04-03T06:52:59Z
dc.date.datesubmitted2025-04-03T06:52:59Z
dc.subject.kihasa노동연계복지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