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코로나19 팬데믹과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경험: 의료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적 함의 = Unmet Healthcar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Healthcare Accessibility

제목
코로나19 팬데믹과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경험: 의료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적 함의 = Unmet Healthcar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Healthcare Accessibility
저자

이승희 ; 손창우

저자(타언어)
Lee, Seunghui ; Shon, Changwoo
키워드
장애인 ; 앤더슨 의료이용 모형 ; 성향점수매칭법 ; 미충족 의료경험 ; 코로나19 팬데믹
발행연도
2025-03-3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5권 제1호, pp.310-331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미충족 의료경험을 비교하고, 장애 여부가 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17년, 2020년 장애인 실태조사와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장애인 실태조사에서 다빈도 장애 유형(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정신 장애(지적, 정신, 자폐성))을 가진 대상을 추출하고, 1:3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으로 구성된 자료원을 구축하였다. 두 그룹 간 차이는 카이제곱검정으로, 장애 여부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앤더슨의 의료이용 모형을 바탕으로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팬데믹 동안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경험은 팬데믹 이전보다 2배 이상 증가한 반면, 비장애인의 미충족의료 경험은 감소했고, 장애인이 비장애인에 비해 팬데믹 상황에서 이전보다 미충족 의료를 경험할 위험이 4배 이상 증가했다. 이를 통해, 팬데믹과 같은 공중보건위기 상황 시 건강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의료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장애인들을 위한 돌봄 서비스의 지속, 이동 지원, 비대면 진료와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등의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5.45.1.310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사회서비스 > 장애인 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