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주보혜 |
dc.contributor.author | 권영지 |
dc.contributor.author | 김유휘 |
dc.contributor.author | 박은정 |
dc.contributor.author | 김은정 |
dc.coverage.temporal | 2024-01-01 - 2024-12-31 |
dc.date.accessioned | 2025-03-31T07:45:24Z |
dc.date.available | 2025-03-31T07:45:24Z |
dc.date.issued | 2024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595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206 |
dc.description.abstract | 한국은 세계 최저 출산율과 급격한 고령화 진행으로 사회전반의 위기의식이 고조된 가운데 인구정책의 전면적 재편을 요구받고 있다.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한국보다 앞서 경험하고, 국가적 위기의식을 바탕으로 대응방안을 모색한 독일의 사례는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독일은 1990년대 유럽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기록했던 국가였지만, 보육시설 확대, 부모수당 도입 등 가족정책 개혁의 성과로 저출산 대응의 새로운 롤모델이 되었다. ‘동등한 생활조건(Equal Living Conditions)’ 확보를 골자로 하는 지역정책에서는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정책 전략과 구체적 실행 방안을 마련해 온 것이 특징이다. 이민정책에서는 전문인력확충법을 도입하면서 이민자에게 매력적인 나라로 탈바꿈하는 노력을 본격화하는 한편, 이민자의 장기적 적응과 사회통합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 | Amid a growing sense of crisis in South Korea, driven by the world’s lowest fertility rate and a rapidly aging population, there is mounting pressure to overhaul the nation’s population policy. Germany’s experience with a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which preceded South Korea’s, along with its effort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in response to a national crisis, offers valuable lessons. In the 1990s, Germany had the lowest fertility rate in Europe, but through significant family policy reforms, including expanding childcare facilities and introducing parental leave, it has emerged as a model for addressing low fertility. Germany’s regional policy, which emphasizes “equal living conditions,” is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policy strategies and specific implementation plans built on social consensus about the policy’s direction. Regarding immigration policy,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Immigration Act for Skilled Workers (Fachkräfteeinwanderungsgesetz) and is working to transform the country into a more attractive destination for immigrant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2 제3절 독일의 인구 현황과 전망 17 제2장 독일 인구전략의 배경과 전개 37 제1절 독일 인구전략의 전개 39 제2절 인구전략의 내용 50 제3장 독일 인구정책 67 제1절 가족정책 69 제2절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정책 120 제3절 이민자 국가로의 전환과 인구정책 145 제4장 국민인식조사 179 제1절 조사 설계 181 제2절 조사 결과 183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259 제1절 연구 요약 261 제2절 정책 제언 및 시사점 270 참고문헌 275 부록 307 [부록 1] 결혼, 출산, 육아에 관한 인식조사 설문지(독일용) 307 [부록 2] 결혼, 출산, 육아에 관한 인식조사 설문지(한국용) 320 Abstract 331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extent | 0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독일의 인구정책 사례 연구 |
dc.title.alternative | Population Policy in Germany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독일 |
dc.subject.keyword | 인구전략 |
dc.subject.keyword | 인구정책 |
dc.subject.keyword | 가족정책 |
dc.subject.keyword | 지역정책 |
dc.subject.keyword | 이민정책 |
dc.subject.keyword | Germany |
dc.subject.keyword | Demographic Strategy |
dc.subject.keyword | Population Policy |
dc.subject.keyword | Family Policy |
dc.subject.keyword | Regional Policy |
dc.subject.keyword | Immigration policy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oo, Bohy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won, Youngji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Yuhwi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Eunj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Eun Jung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4.42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4-42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4-42 |
dc.citation.date | 2024 |
dc.citation.date | 2024 |
dc.citation.date | 2024 |
dc.date.dateaccepted | 2025-03-31T07:45:24Z |
dc.date.datesubmitted | 2025-03-31T07:45:24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일반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3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400034_1_1 |
dc.type.project | 일반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일반24-001-09-01]독일의 인구정책 사례 연구 |
dc.subject.kihasa | 인구변화 |
dc.subject.kihasa | 저출산대응 |
dc.subject.kihasa | 고령화대응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