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행복 및 삶의 질 측정과 정책 활용성 제고 방안 연구 = Measuring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for Social Policy-Making

제목
행복 및 삶의 질 측정과 정책 활용성 제고 방안 연구 = Measuring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for Social Policy-Making
저자

김성아(Kim, Seonga) ; 민기채 ; 한수진

저자(타언어)
Kim, Seonga ; Min, Kichae ; Han, Su-jin
키워드
행복 ; 삶의 질 ; 측정 ; 타당성 ; 신뢰성 ; 정책 활용
발행연도
202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이 연구는 국민의 행복과 다차원적인 영역을 포괄하는 삶의 질을 측정한 결과를 사회정책 현장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정책 활용성을 제안하였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 론 5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7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11

제2장 선행연구 검토 13
제1절 행복의 개념과 측정 15
제2절 행복과 삶의 질의 연관성 19
제3절 행복과 삶의 질의 활용 27

제3장 행복과 삶의 질 측정 조사실험 33
제1절 문제 제기 35
제2절 선행연구 검토 36
제3절 조사실험 설계 및 분석모형 38
제4절 조사실험 결과 분석 50
제5절 소결 66

제4장 2차 자료를 활용한 행복과 삶의 질 측정 신뢰성 검증 69
제1절 문제 제기 71
제2절 선행연구 검토: 연령과 행복의 U자형 관계 72
제3절 분석자료와 분석모형 77
제4절 분석 결과 82
제5절 소결 101

제5장 정책 활용 사례: 뉴질랜드 103
제1절 웰빙 예산의 도입 배경과 경과 105
제2절 웰빙의 개념과 측정 109
제3절 웰빙 증진을 위한 정책 설계와 활용 사례 112
제4절 웰빙 증진을 위한 정책 평가 125
제5절 소결 139

제6장 결론과 정책 활용 방안 143
제1절 요약 및 결론 145
제2절 정책 활용 방안 147

참고문헌 159

부 록 177
[부록 1]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조사」 조사표 177
[부록 2]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조사」 IRB 승인 결과 185
[부록 3] 행복과 삶의 질 조사를 활용한 영향요인 분석 186

Abstract 195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4-36
ISBN
9791172520533
DOI
10.23060/kihasa.a.2024.36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