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 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의 의약품 사용 지원방안 연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 Ensuring Safe Medication Us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Policy Study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박은자 |
dc.contributor.author | 박실비아 |
dc.contributor.author | 황남희 |
dc.contributor.author | 문선영 |
dc.contributor.author | 이성한 |
dc.coverage.temporal | 2024-01-01 - 2024-12-31 |
dc.date.accessioned | 2025-03-04T06:38:49Z |
dc.date.available | 2025-03-04T06:38:49Z |
dc.date.issued | 2024 |
dc.identifier.isbn | 9791172520267 |
dc.identifier.isbn | 10.23060/kihasa.a.2024.09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024 |
dc.description.abstract | 의약품 사용은 성공적이고 건강한 노화의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노인의 의약품 사용 문제를 파악하고 국내외 관련 중재 방법을 조사하여 고령 노인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지원하는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보건복지인력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의약품 사용을 지원‧관리하는 정책 사례로 지역사회통합돌봄사업의 방문약료 프로그램과 의‧약사 협업 다제약물 관리 시범사업을 분석하고 우리나라보다 먼저 초고령 사회를 경험한 일본과 유럽의 관련 정책을 조사하였다. 노인은 노화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기능 약화와 복합만성질환으로 인해 중복약물 등 의약품 사용 문제에 취약하므로 초고령 사회에서 노인의 약물 사용 문제를 줄이고 효과적이고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지원하는 정책과 사업이 확대되어야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Medication is a critical component of successful and healthy aging. This study identified the problems of medicine use among the elderly and examined releva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methods to propose policy measures to support the safe use of medicines among the elderly. As a policy case, the visiting pharmacy program of the community-integrated care project and the pilot project for multi-drug management in collaboration with doctors and pharmacists were analyzed, and the relevant policies of Japan and Europe, which experienced an ultra-aged society before Korea, were examined. Older adult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medication-related issues, including duplication of medications due to physical and mental decline and multiple chronic conditions. Policies and projects that reduce medication-related problems and promote safe and effective medication use among the elderly should be expanded in an aged societ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7 제2절 연구 내용 9 제3절 연구 방법 11 제2장 노인의 건강과 의약품 19 제1절 노화와 의약품 사용 문제 21 제2절 다약제 복용 24 제3절 부적절한 의약품 사용 30 제3장 노인 의약품 복용 현황 35 제1절 다약제 복용과 의약품 복용 활동 제한 37 제2절 복약순응도 42 제3절 약물 부작용 경험 48 제4절 소결 51 제4장 국내 노인 의약품 사용 지원·관리사업 53 제1절 지역사회 통합돌봄 선도사업 55 제2절 다제약물 관리사업 의사·약사 협업 모델 73 제3절 기타 94 제4절 소결 99 제5장 주요 외국의 노인 의약품 복용 지원·관리사업 101 제1절 일본 103 제2절 유럽 134 제3절 소결 158 제6장 노인 의약품 사용 지원방안 161 제1절 기본 방향 163 제2절 정책 과제 165 참고문헌 175 Abstract 189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extent | 199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초고령 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의 의약품 사용 지원방안 연구: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
dc.title.alternative | Ensuring Safe Medication Use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Policy Study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노인 |
dc.subject.keyword | 다약제 복용 |
dc.subject.keyword | 처방 정보 |
dc.subject.keyword | Older adults |
dc.subject.keyword | Polypharmacy |
dc.subject.keyword | Prescription informati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Eunj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Sylvi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wang, Nam-hui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Moon, Sun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Sunghan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4-09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4-09 |
dc.citation.date | 2024 |
dc.citation.date | 2024 |
dc.date.dateaccepted | 2025-03-04T06:38:49Z |
dc.date.datesubmitted | 2025-03-04T06:38:49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일반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4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400031_1_1 |
dc.type.project | 일반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일반24-001-07]초고령 사회에 대응하는 노인의 의약품 사용 지원방안 연구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
dc.subject.kihasa | 고령화대응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