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IP) 실현을 위한 노인 주거지원의 현황과 과제 = Elder Housing Support for Aging-in-Place: Current State and Areas for Improvemen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임덕영
dc.date.accessioned2025-02-26T23:44:19Z
dc.date.available2025-02-26T23:44:19Z
dc.date.issued2025-02-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013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5.02.4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한국에서 지역사회 계속 거주(AIP)를 실현하기 위한 노인 주거지원의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 노인가구는 자가 보유율이 높지만, 경제적 부담과 주거 환경 노후화로 주거 안정성이 부족하다. 현재 정책은 시설 중심 지원과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집중되어 있는데, 기존 거주지에서 돌봄과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이 미흡하다. 따라서 기존의 주거 이동 중심의 노인 주거 정책은 주거 유지 지원을 보다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노후주택 개보수, 재가 돌봄 연계, 주거비 지원 확대 등 정책이 개선되어야 하며, 노인이 안정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존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주거정책이 설계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article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elder housing support, identifies areas for improvement, and explores policy options for advancing aging-in-place. The homeownership rate may be high among elderly households in Korea, but these elderly homeowners lack housing security, as their homes are in many cases dilapidated and involve heavy financial costs. Existing housing support policies targeting older adults, focused on facility-based caregiving and public rental housing, lack measures for providing these seniors with care and support in their own ho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focus of housing support policies for seniors from residential relocation to increasing support for the maintenance of their homes. Enhanced support is needed, particularly for home renovation, home-based care provision, and housing maintenance costs. The framework of elder housing policies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o ensure that older adults live securely, with dignity, in the community.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AIP) 실현을 위한 노인 주거지원의 현황과 과제
dc.title.alternativeElder Housing Support for Aging-in-Place: Current State and Areas for Improvement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지역사회계속거주
dc.subject.keyword노인주거정책
dc.subject.keyword주거복지
dc.subject.keywordAging in Place
dc.subject.keywordSenior Housing Policy
dc.subject.keywordHousing Welfare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im, Deokyoung
dc.identifier.doi10.23062/2025.02.4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5
dc.citation.volume34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25-02-01
dc.citation.startPage38
dc.citation.endPage5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5년 2월 통권 제340호, pp.38-5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5.2 No.340, pp.38-54
dc.date.dateaccepted2025-02-26T23:44:19Z
dc.date.datesubmitted2025-02-26T23:44:19Z
dc.description.subject노인의 지역사회 지속 거주를 위한 재가 기반의 사회서비스 현황과 주요 쟁점
dc.description.subjectCurrent State and Issues of Home-Based Social Services for Aging in Place
dc.subject.kihasa지역사회보장
dc.subject.kihasa노인복지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지역사회보장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