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1, 2차 베이비붐세대의 소득 및 자산 특성 비교 = A Comparison of Income and Assets in the Early and Late Baby-Boomer Cohor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주미
dc.date.accessioned2025-02-26T23:30:14Z
dc.date.available2025-02-26T23:30:14Z
dc.date.issued2025-02-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7011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5.02.6
dc.description.abstract1차 베이비붐세대는 2024년 기준 61~69세(1955~1963년생)로 이미 은퇴 연령에 진입하였다. 단일 세대 중 규모가 가장 큰 2차 베이비붐세대는 2024년 기준 50~60세(1964~1974년생)로 향후 10년 동안 법정 은퇴 연령(60세)에 도달할 예정이다. 노인빈곤율이 여전히 높은 상황임을 고려할 때, 이들의 소득과 자산 상태를 세밀하게 파악하고 고령화에 대비한 맞춤형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글에서는 1, 2차 베이비붐세대의 소득, 자산 등 경제적 여건, 경제활동 상태변화 등에서 나타나는 차이에 주목하여 이들을 구분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2차 베이비붐세대는 경제활동 시기의 시대적, 경제적 배경 특성으로 인해 소득과 자산의 축적과 활용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점에서 각 세대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적 대응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early-cohort baby boomers, born between 1955 and 1963, have already entered their retirement years. In the next ten years, the larger late cohort, consisting of individuals born between 1964 and 1974 and aged 50 to 60 as of 2024, will have passed the statutory retirement age of 60. Given the high poverty rate persisting among the elderly, policy measures targeting these baby boomers should be designed with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income and asset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examined the early and late cohorts, focusing on how they differ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income and asset situations, economic participation. The two cohorts differed in the accumulation and use of income and assets, likely due to the differing socioeconomic conditions of their respective economic engagement periods. This article further discusses the need for policy respons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aby-boomer cohort.
dc.format.extent1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1, 2차 베이비붐세대의 소득 및 자산 특성 비교
dc.title.alternativeA Comparison of Income and Assets in the Early and Late Baby-Boomer Cohort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소득보장
dc.subject.keyword빈곤
dc.subject.keyword사회정책
dc.subject.keywordIncome Security
dc.subject.keywordPoverty
dc.subject.keywordSocial Policy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umi
dc.identifier.doi10.23062/2025.02.6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5
dc.citation.volume340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25-02-01
dc.citation.startPage69
dc.citation.endPage8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5년 2월 통권 제340호, pp.69-8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5.2 No.340, pp.69-83
dc.date.dateaccepted2025-02-26T23:30:14Z
dc.date.datesubmitted2025-02-26T23:30:14Z
dc.subject.kihasa사회통합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dc.description.section정책분석과 동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