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Ka-Hee
; Ham, Young Jin
; Park, Seongjun
; Lee, Yeonggeul
; Kim, Bo-Yung
; Kim, Jimin
키워드
지역사회보장계획
; 지역사회보장정책
; 지역사회 변화
; 지역 연관성
; 전달체계
발행연도
202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변화에 따른 다양한 사회적 이슈와 지역 주민의 욕구를 반영하여 지역사회보장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지방정부의 중요한 책무로 대두되고 있으나, 많은 지자체의 복지정책은 지역사회 변화와 지역 주민의 구체적인 욕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이런 문제의식하에, 지역사회 변화와 지역사회보장정책 간의 연관성을 진단하여, 향후 지역사회보장정책 수립의 지향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 제2절 연구 방법 및 내용 26
제2장 이론적 배경 29 제1절 지방정부와 지역사회보장정책 31 제2절 환경진단 및 사회적 이슈 변화와 지역사회보장정책 36 제3절 중앙정부 정책과 지역사회보장정책 41
제3장 지역사회 변화와 지역사회보장정책 연관성 진단 49 제1절 지역사회보장계획 내 환경진단과 사업 간 연관성 진단 51 제2절 사회적 이슈의 변화와 지역사회보장계획 간의 연관성 진단 181 제3절 중앙부처의 정책과 지역사회보장계획 간의 연관성 진단 225
제4장 지역사회 변화와 지역사회보장정책 수립 과정 진단 247 제1절 전문가 FGI 개요 249 제2절 전문가 FGI 분석 결과 252 제3절 소결 269
제5장 정책 제언 273 제1절 우리나라 지역사회보장정책의 지역 연관성 과제 275 제2절 지역사회 변화와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연관성 진단을 통한 정책 제언 277 제3절 지역사회 변화와 지역사회보장정책 수립 과정 진단을 통한 정책 제언 279
참고문헌 283
부록 287 부록 1. 제3장 1절 : 영역별 주요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 결과 287 부록 2. 제3장 1절 : 주요 키워드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304 부록 3. 제3장 3절 : 사회보장 기본계획과 지역사회보장계획 간 연관성 분석 결과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