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웰다잉 논의의 경향 및 과제 = Trends and Challenges in Well-Dying: Preparing for the Futur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신지영
dc.contributor.author김수경
dc.contributor.author최소영
dc.contributor.author백주하
dc.contributor.author오종민
dc.contributor.author최지연
dc.coverage.temporal2024-01-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2-10T06:58:57Z
dc.date.available2025-02-10T06:58:57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40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906
dc.description.abstract‘좋은 죽음’, 웰다잉을 위한 제도적 요소에는 호스피스, 연명의료 이외에도, 포괄적인 생애 말기 돌봄, 요양, 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심리적 지원, 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가 포함될 수 있다. 좋은 죽음의 정의는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 다를 수 있고, 각자가 생애 말기에 좋은 죽음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다양한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웰다잉 관련 제도의 범위는 매우 넓기 때문에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한두 가지의 제도에 집중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최근에 시행되고 있는 웰다잉 관련 제도를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제도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고 한계를 분석하여 웰다잉 관련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또한 국내의 정책 현황을 반영하여 웰다잉에 대한 개인의 관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웰다잉 관련 정책의 개선점을 제안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웰다잉 정책 현황을 조사하고, 호스피스·연명의료 관련 이슈 및 웰다잉 관련 서비스 등 여러 가지 웰다잉 관련 요소들에 대한 개인의 입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며, 국내외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미래 우리 사회의 변화를 고려한 웰다잉 정책의 개선 방향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components of a 'good death' can include hospice and end-of-life care, as well as related services such as comprehensive end-of-life care, nursing care, psychological support and counseling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While the definition of a good death may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values, various social systems exist to help people prepare for a good death at the end of life. Due to the broad scope of these systems, previous studies have often focused on one or two systems to identify specific problems. Relatively few studies have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recently implemented well-dying systems, analyzed their interconnections and limitations, and proposed directions for related policie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individuals' opinions on what constitutes a good death and to propose improvements to well-dying polic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well-dying policies in Korea and abroad,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individuals' views on various well-dying-related elements such as hospice and end-of-life care issues, and propose directions for improving well-dying policies in Korea by collecting opinion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expe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웰다잉 관련 국내외 정책 현황 고찰 17 제1절 웰다잉 관련 국외 정책 현황 19 제2절 호스피스・연명의료 관련 국내 정책 현황 57 제3절 웰다잉 서비스 관련 국내 정책 현황 78 제3장 웰다잉에 대한 태도 예측 모델링 89 제1절 분석 내용 및 방법 91 제2절 설문조사 기술 통계 96 제3절 머신러닝 분석 결과 125 제4절 요약 및 시사점 136 제4장 국내 전문가의 웰다잉 정책 제언 141 제1절 전문가 면담 조사 개요 143 제2절 조사 결과 144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178 제5장 결론 181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83 제2절 미래의 웰다잉을 위한 향후 정책과제 189 참고문헌 195 부록 203 [부록 1] 설문조사표 203 Abstract 21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2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웰다잉 논의의 경향 및 과제
dc.title.alternativeTrends and Challenges in Well-Dying: Preparing for the Futur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웰다잉
dc.subject.keyword호스피스
dc.subject.keyword연명의료
dc.subject.keyword자기 결정권
dc.subject.keyword생애 말기 돌봄
dc.subject.keywordWell-dying
dc.subject.keywordhospice
dc.subject.keywordend-of-life care
dc.subject.keywordself-determin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Ji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oo K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So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k, Juh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Jongm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Jiyeo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23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23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23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2-10T06:58:57Z
dc.date.datesubmitted2025-02-10T06:58:57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003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4-003-00]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웰다잉 논의의 경향 및 과제
dc.subject.kihasa미래질병위험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