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고서에서는 빈곤의 개념과 측정 관련 국내외 논의와 논쟁을 개관하고, 상대소득 빈곤, 주관적 빈곤, 박탈지표 방식을 통해 우리나라의 빈곤 수준과 추이를 계측하고 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건복지부의 의뢰를 받아 실시하는 『국민생활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목차
요약 1
제1장 서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 8
제2장 이론적 배경: 빈곤 개념, 정의와 측정 15 제1절 빈곤의 개념과 정의 17 제2절 빈곤의 측정 방식 28 제3절 소결 42
제3장 상대소득 빈곤: 누가 상대적으로 빈곤한가 45 제1절 상대소득 빈곤선의 활용과 쟁점 47 제2절 균등화지수에 따른 상대소득 빈곤율 추이 및 특징 54 제3절 임차료(월세)를 고려한 빈곤 현황 62 제4절 재산을 고려한 빈곤 현황 70 제5절 소결 75
제4장 주관적 빈곤: 누가 빈곤하다고 인식하는가 79 제1절 주관적 빈곤(선)의 활용과 쟁점 81 제2절 주관적 빈곤선의 수준 및 추이 84 제3절 주관적 빈곤과 상대소득 빈곤 비교 93 제4절 소결 104
제5장 박탈지표: 누가 박탈 상태인가 107 제1절 박탈지표 방식의 활용과 쟁점 109 제2절 박탈지표의 구성과 분포 112 제3절 박탈지표에 따른 빈곤과 상대적 빈곤 비교 123 제4절 소결 136
제6장 종합 비교 및 정책적 시사점 139 제1절 빈곤 개념 및 계측 결과의 정책적 시사점 141 제2절 빈곤 지표 간 비교와 정책적 시사점 146
참고문헌 159
부록 167 [부록 1] 연도별 빈곤선(최저생계비) 167 [부록 2] 박탈 항목 168 [부록 3] 기초 분석 결과 172 [부록 4] 종합 분석 결과 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