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주택과 공동체 육아·돌봄: 남양주시 '위스테이 별내' 사례 연구 = Social housing and the community child care: A case study on the 'We Stay Byeolnae' in Namyangju-si

제목
사회주택과 공동체 육아·돌봄: 남양주시 '위스테이 별내' 사례 연구 = Social housing and the community child care: A case study on the 'We Stay Byeolnae' in Namyangju-si
저자

김도균 ; 이태영

저자(타언어)
Kim, Dokyun ; Lee, Taeyoung
키워드
사회주택 ; 커먼즈 ; 사회적 재생산 ; 경계투쟁 ; 주거 ; 돌봄
발행연도
202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장기화된 초저출산 현상을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를 나타내는 징후라고 지적하며, 사회주택과 공동체 육아·돌봄이 결합된 커먼즈(Commons)적 접근이 초저출산 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지 탐구한다. 초저출산 현상이 생산과 재생산의 분리 및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본다면, 해결책은 생산과 재생산의 경계를 새롭게 설정하여 사회적 재생산을 재구성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경계투쟁을 통해 생산과 재생산의 분리를 극복하고, 돌봄을 공동체적 영역으로 확장하려는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위스테이 별내’는 협동조합형 사회주택 아파트로, 공동체 육아·돌봄 활동을 통해 사회적 재생산의 경계를 새롭게 설정하고 그 의미를 복원한 사례다. 위스테이 별내에서 이웃 간의 신뢰와 협력을 기반으로 형성된 돌봄의 커먼즈는 육아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가족 간 갈등을 줄이며, 특히 출산 의향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는 위스테이 별내 사례를 통해 돌봄과 주거를 통합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재생산을 재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저출산 문제는 단순히 경제적 비용의 문제가 아니라 돌봄을 커머닝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해결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목적 11
제2절 연구내용 17
제3절 조사설계 20

제2장 사회주택과 돌봄 커먼즈 25
제1절 사회주택과 도시 커먼즈 27
제2절 사회적 재생산과 돌봄 커먼즈 35
제3절 위스테이 별내 소개 38

제3장 이웃관계와 공동체 경험 55
제1절 입주 전 주거·돌봄 경험과 입주 계기 57
제2절 입주 이후의 이웃관계와 생활 경험 76
제3절 소결 109

제4장 공동체 육아·돌봄 경험 111
제1절 일상적인 돌봄 경험 113
제2절 육아 만족도/스트레스 157
제3절 돌봄 경험과 주거/일자리 의식 168
제4절 소결 184

제5장 공동체 육아·돌봄과 출산 의향 187
제1절 출산 의향 189
제2절 저출산 정책에 대한 의견 214
제3절 소결 226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227
제1절 결론 229
제2절 시사점 233

참고문헌 237

부 록 241
[부록 1] 설문지 241

Abstract 269
보고서 번호
정책자료 2024-02-02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