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의약품 공급의 안정성 제고를 위한 연구 = Enhancing the Stability of Medicine Supply in the post-COVID Era

제목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의약품 공급의 안정성 제고를 위한 연구 = Enhancing the Stability of Medicine Supply in the post-COVID Era
저자

박실비아(Park, Sylvia) ; 박은자(Park, Eunja) ; 이나경 ; 이홍림

저자(타언어)
Park, Sylvia ; Park, Eunja ; Lee, Nagyeong ; Lee, Hong Lim
키워드
의약품 ; 공급 안정 ; 공급 부족 ; 제조 ; 공급망
발행연도
202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코로나19는 의약품 제조와 이동에 차질을 빚으면서 세계적으로 의약품 공급 부족 현상을 심화시켰고,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해 온 의약품 제조·공급 구조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의약품 공급의 안정성을 높이고 미래 공중보건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급 역량을 갖추기 위한 정책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필수의약품의 제조·공급망 강화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정책과 의약품 제조·공급 구조의 현황에 관해 사례 분석을 수행하고, 코로나19 이후 미국, 유럽에서 진행된 의약품 제조·공급망 강화를 위한 정책과 논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필수의약품 제조·공급의 회복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 추진의 관점에서 향후 과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 약 1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11
제2절 연구 목적 13
제3절 연구 내용과 방법 14

제2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의약품 공급 안정성의 고찰 17
제1절 의약품 공급 부족 현상과 공급망 문제 19
제2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의약품 공급의 안정화 22

제3장 의약품 공급 안정에 관한 국내 현황 33
제1절 국내 의약품 공급 부족과 제조·공급망 문제 35
제2절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체계 운영 43
제3절 공급망 기본법에 따른 공급망 안정화 정책 48

제4장 국내 의약품 제조·공급 구조 사례 분석 55
제1절 분석 내용과 방법 57
제2절 분석 결과 59
제3절 고찰 81

제5장 코로나19 이후 외국의 의약품 제조·공급망 강화 동향 85
제1절 미국 87
제2절 유럽 113

제6장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내 의약품 공급 안정성 제고를 위한 추진과제 133
제1절 의약품 공급 안정성 제고를 위한 추진과제 135

참고문헌 147

Abstract 16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4-12
ISBN
9791172520298
DOI
10.23060/kihasa.a.2024.12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식품/의약품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