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저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함의: 출생코호트 특성 고찰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low fertility rates and its implication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birth cohorts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장인수
dc.contributor.author임지영
dc.contributor.author유삼현
dc.contributor.author계봉오
dc.coverage.temporal2024-01-01 - 2024-12-31
dc.date.accessioned2025-01-07T06:31:59Z
dc.date.available2025-01-07T06:31:59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31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40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오랜 기간 경험하고 있는 초저출산 양상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제시하고 관련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하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특히 현재 청년 세대의 취약성이 결혼과 출산과 같은 생애주기 내 주된 단계로의 진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과 더불어 사회 구조의 양극화와 어떠한 연관성을 형성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관성의 매개로서 광범위한 사회적 불안정성에 함께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저출산과 연관성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관성이 사회적 불안정성과 맞물린 현재 청년층의 취약성과도 무관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pplement discuss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ultra-low fertility rate. We focused on the possibility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vulnerabilities of the current youth generation could negatively affect their progression to key life stages, such as marriage and childbirth. We also considered how the rapid decline in fertility rates may be linked to increasingly individual-level disparities caused by the polarization of social structures and various forms of inequality compared to older generations. Furthermore, we determined that these issu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broader social instability currently recognized as a pressing concern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17 제2절 연구의 목적과 구성 21 제2장 관련 논의 검토 25 제1절 경험적으로 보고된 한국사회의 세대 간, 세대 내 불평등 27 제2절 불평등과 차별적 인구 행위 29 제3절 저출산 현상과 인구학적 논쟁 33 제3장 불평등과 불안정성, 그리고 차별적 인구 행위 41 제1절 분기하는 흐름과 불평등 43 제2절 불확실성의 확대와 새로운 논의 46 제3절 한국의 불평등과 불안정성 53 제4절 소결 60 제4장 불안정성의 기제와 특성 탐색: 최근 세대 간, 세대 내 사회경제적 불평등, 가치관 63 제1절 세대 간 소득, 자산 불평등 최근 추세 66 제2절 세대 내 사회경제적 불평등 현황 79 제3절 세대 내 불평등과 미혼자의 결혼·출산 관련 특성 분석 92 제4절 세대 간, 세대 내 결혼, 출산 등에 대한 가치관 차이 특성 111 제5절 소결 121 제5장 노동시장 지위 이동으로 본 세대 간 불평등 특성과 함의 125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27 제2절 관련 선행연구 검토 128 제3절 자료와 분석방법 132 제4절 분석결과 139 제5절 소결 169 제6장 출생코호트별 출산 이행과 사회경제적 불평등 간 연관성 171 제1절 분석의 배경 173 제2절 분석자료와 방법 175 제3절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출산 이행 간 연관성: 출생코호트 간 차이 탐색 187 제4절 소결 210 제7장 결론 213 제1절 주요 연구내용 요약 215 제2절 정책적 함의 219 참고문헌 223 Abstract 241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5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저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함의: 출생코호트 특성 고찰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low fertility rates and its implications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birth cohorts in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경제적 불평등
dc.subject.keyword청년 세대
dc.subject.keyword불안정성
dc.subject.keyword저출산
dc.subject.keyword출산력
dc.subject.keyword사회구조
dc.subject.keyword노동시장
dc.subject.keyword차이 모형
dc.subject.keyword횡단 연구
dc.subject.keyword종단 연구
dc.subject.keywordsocioeconomic inequality
dc.subject.keywordyouth generation
dc.subject.keywordinstability
dc.subject.keywordlow fertilityrate
dc.subject.keywordfertility
dc.subject.keywordsocial structure
dc.subject.keywordlabor market
dc.subject.keyworddecomposition model
dc.subject.keywordcross-sectional study
dc.subject.keywordlongitudinal study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ang, Ins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im, Ji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 Sam H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ye, Bongoh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4.14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4-14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4-14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5-01-07T06:31:59Z
dc.date.datesubmitted2025-01-07T06:31:59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400027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4-001-03]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저출산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함의 : 출생코호트 특성 고찰을 중심으로
dc.subject.kihasa인구변화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Link

share

qrcode
share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